마산지방해양수산청이 마산항에 모래부두 공사를 다시 추진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가포물양장 인근 공유수면 6700㎡를 메워 기존 모래부두를 확장하는 사업이 골자로, 민간기업이 삽을 뜰 예정이다. 그러나 이 사업은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에게 환영 받지 못하고 있다.최근 감사원이 발간한 <해양수산부 기관 정기감사>에서 마산항 모래부두의 적정 하역량이 야적량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과소 산정했다는 조사가 나왔다. 감사원은 현행 55만 1000t을 재검토하여 산정하였더니 74만 6000t으로 35.3% 증가했다고 밝혔다. 마산항 모래부두의 경우 야적장에서 별도 공간으로 모래를 옮기거나 트럭에 곧바로 싣는 등 야적장 능력이 여유가 있음에도 현행 적정 하역량은 그것을 감안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감사원은 과소 산정된 하역량이 항만 규모가 필요 이상으로 개발되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는데, 지금의 모래부두 공사가 이를 말해주는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마산항의 화물 수송 실적에서도 모래가 차지하는 비중이 작으며 그마저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것도 모래부두 조성이 필요한지 의문이 들게 한다. 마산해수청이 발표한 2019년 1·2월 기준 마산항의 모래 교역량은 5만 4000t으로 1년 전 같은 기간 13만 8000t에 견줘 39% 수준에 불과했다. 교역량에서도 모래는 차량, 철재, 기계류, 유류, 시멘트에 밀려나 있다. 화물이나 선박 물동량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마산항이 비중이 크지 않은 모래 같은 원자재에 의존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스럽다.

마산만은 현재 생태적으로도 위기다. 심각한 오염에 따라 정부로부터 특별관리해역 중 하나로 지정된 상태며, 2020년 해양수산부 발간 보고서에서 표층퇴적물 화학적 산소요구량이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왔다. 모래 부두를 설치할 곳은 마산만이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적용받은 연안오염총량관리 해역과 겹친다. 마산해수청은 절차가 적법했음을 강조하고 있지만 공사가 야기할 먼지 피해를 막을 방안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모래부두 공사는 총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마산해수청은 관련 전문가와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등 소통에 나서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