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점 76.3점…바닥 수준 여전
'제조업 중심 한계'목소리도

경남도 2019년 성평등지수가 한 해 전보다 상승한 76.3점을 기록했지만, '전국 하위 지역' 등급은 벗어나지 못했다. 경남 성평등지수는 2012년 발표된 이후 '중하위·하위 지역'에 머물고 있다. 평가 지표가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데다 '셋째아 이상 출생 성비'를 지표로 삼는 등 새로운 시대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년 연속 '하위 지역' = 여성가족부는 최근 '2019년 기준 지역성평등 지수 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완전한 성평등 상태'는 100점으로 산정되며, 경남은 76.3점으로 전년에 이어 하위 지역 등급을 받았다.

지역성평등 지수는 △성평등한 사회참여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 문화 3개 영역을 8개 분야·23개 지표로 평가한다.

경남은 안전 분야(전국 9위)에서 지역별 순위가 2단계 상승했고, 경제활동(14위)·의사결정(13위)·문화정보(10위) 분야에서 1단계씩 올랐다. 가족(2위) 분야는 전년과 마찬가지로 상위권을 유지했다. 교육·직업훈련(10위), 복지(14위), 보건(15위) 분야는 하위 순위에 머물며 제자리걸음했다.

도 여성정책과는 2019년에도 하위 등급을 받았지만 성평등 개선에 주목해달라고 설명했다. 전년과 비교해 성평등 수준은 광주가 3점으로 가장 많이 개선됐고, 대전(1.6점)에 이어 경남(1.3점), 충남(1.1점) 순으로 전국 평균(0.7점)보다 높은 개선을 보였다.

◇지표의 오류 = 도내 성평등지수가 중하위·하위 지역에 머무는 이유는 그간 여성 정책 개발에 자치단체장 의지가 부족한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반면, 지표 자체가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경남은 잘해도 '중하위' 등급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짚는 목소리도 나온다.

성평등지수 산정 방법은 '여성 인구 100명에 대한 남성 인구의 수'인 성비의 평등 상태를 점수화한다.

경제활동 분야의 세부 지표는 '경제활동참가율 성비, 성별 임금격차 성비, 상용근로자 성비'로 나뉘는데 도내 경제 구조상 조선·제조업 비율이 높은 만큼 여성의 경제활동 분야 순위가 한순간에 올라가기 어려운 구조다.

경제활동 분야 점수가 낮으면 '공적연금 가입자 성비'를 주요 지표로 하는 보건 분야와 '건강검진 수검률 성비'를 따지는 보건 분야 점수도 같이 낮은 특성이 있다.

또 교육·직업훈련 분야는 '평균 교육연수 성비,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성비'를 조사하는데, 시 단위 자치단체보다 도·농 복합지역인 도 단위 자치단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을 수밖에 없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남녀 학력 차이가 크며, 농촌지역은 여성 어르신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가족 분야에서는 '셋째아 이상 출생 성비' 등 구시대적인 지표도 총점에 영향을 미친다.

2019년 지역성평등 지수 '상위 지역'은 광주·대전·부산·제주이고, '중상위 지역'은 경기·대구·서울·충북이다. '중하위 지역'은 강원·울산·인천·전북이며, '하위 지역'은 경남·경북·전남·충남이다.

여성정책과는 "공공부문이나 행정부문에서 끌어올릴 수 있는 부분은 최대한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다"며 "지난해 7월 경남여성가족재단이 출범했고, 여성친화도시도 창원·진주·고성이 선정돼 도내 총 5곳이 됐다. 내년에 발표될 2020년 지수는 중하위로 상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