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부들의 한결같은 바람은 농사를 잘 짓고 제값을 받는 것일 것이다. 그리고 한솥밥 먹는다는 말처럼 매일 먹는 음식을 같이할 수 있다면 그야말로 식구가 된다. 동남권 메가시티 계획의 분야별 공동체 구축의 하나로 먹거리 공동체를 추진한다. 잘 된다면 이는 그야말로 지역을 하나로 묶어 낼 수 있다.

먹거리 공동체 구상은 2019년 3월 '동남권 상생발전 협약'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경남도와 부산시는 먹거리 공동체 실현을 구체화하고자 과제 발굴에 머리를 맞댔다. 지난해 11월 '경남·부산 광역푸드플랜 통합 추진계획'을 확정해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하반기에는 울산도 포함한다. 주생산지인 경남의 농업과 주소비지인 부산·울산을 연결해 로컬푸드화하겠다는 것이 핵심인데 이를 잘 연결할 여러 방안도 나왔다. 경남·부산 공공급식 먹거리 생산·공급·소비체계 구축, 생산·소비·안전성 정보를 관리하는 광역 먹거리 통합정보시스템 구축, 생산·유통·소비 단계별 검사체계 구축으로 먹거리 안정성 확보, 생산자·소비자가 함께하는 먹거리 가치 공유 행사 등이다.

로컬푸드 개념은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생산자는 제값을 받을 수 있고 소비자는 싸게 신선한 식재료를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광역푸드플랜 통합 추진계획은 이를 실현할 방안인데 계획은 잘 짜인 모양새이다. 문제는 구체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 기초단체마다 한두 개씩 있는 소규모 로컬푸드는 농민이 직접 생산물을 매장에 가져가 진열하고 팔리지 않은 물건을 회수해야 한다. 농사 규모가 큰 농민에게는 그림의 떡인 셈이다. 거리와 농민의 품·규모 등을 고려할 때 농협 등 유통을 담당할 주체가 있어야 한다. 소비자 신뢰를 얻는 부분은 계획의 실천의지에 달려 있다고 본다.

초광역 먹거리 공동체 구상은 지역 발전을 위해 꼭 해야 함은 틀림없다. 자금과 열정이 문제다. 동남권은 인구의 다수가 경남이 고향이다. 이미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촘촘하게 일을 만든다면 효도고속도로라고도 불리는 남해고속도로는 지역을 단단하게 묶는 통합의 고속도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