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 크게, 대도시 광역권에 통합되어 가는 동부경남, 대한민국 제조업 중심지를 이루는 창원권, 그리고 혁신도시와 한국항공우주산업이 위치한 서부경남권으로 나눈다. 이럴 경우에 100만 안팎의 인구를 포괄하는 권역은 산업과 생활권역으로 상정한다. 경상남도 내 균형발전 전력의 일차적 목표는 세 개 권역의 균형 발전이다.

균형발전이란 개인, 가구, 마을, 지역, 도시와 농촌, 권역 등 다양하게 정의되므로, 합의된 논의를 위해서는 일단 3개 권역 간 균형으로 정의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게 자연스럽다. 개인과 가구 간 소득격차, 세대 간 기회 쟁탈전, 생태 환경과 물질적 풍요로움의 정책적 갈등 등을 균형발전 이름으로 한 번에 해결할 방법은 없다. 따라서 현실에서는 3개 권역을 특성에 맞게 혁신하게 시대적 추세에 적응하고, 지역민은 세대 간 공간적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사회적 풍요로움을 유지하고, 권역 간 상생과 협력의 관계를 맺어가는 것이 우선이다.

경상남도는 18개 시군 중 김해, 양산, 창원, 거제, 진주의 인구증가지역을 제외한 13개 시군에 지난 18년부터 5년 계획으로 84개 사업에 4258억 원을 투입하여 균형발전 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럼에도 체감할 만한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사업은 성공했으나, 인구는 줄어들고 소멸 위기에 다가가고 있다.

개개의 사업 진행에 대해 평가하기보다는, 한 가지만 제안한다. 정부가 추진 중인 그린 뉴딜, 스마트 뉴딜, 사회적 뉴딜에 올라타고, 도내 균형발전 사업을 진행하라는 것이다. 사업 주안점을 생태, 스마트, 풍요로움에 맞추고, 정부 투자와 연계하라는 것이다. 낙후지역이 생태, 스마트, 사회적 풍요로움의 공간으로 바뀌는 순간, 도시의 밀집된 환경에서 발생하는 전염병 공포와 경쟁에 시달린 이들에게 힐링 장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낙후지역민의 합의, 낙후지역 시군의 정책적 판단, 그리고 행정 추진력이 남아 있을 뿐이다. 다급할수록 멀리, 넓게, 통합적으로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가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