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년 새해는 새로운 삶의 질서를 요구하는 '코로나 이후 시대'를 대비할 때다. 운외창천, 먹구름은 물러가고 온 국민이 푸른 하늘 보며 기세를 뻗칠 날이 머지않으니 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인류에게 양보와 배려, 포용과 협력, 그리고 연대와 공생의 가치만이 생존을 보장함을 가르쳤다.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경제·사회, 정치·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세계관과 도덕, 그리고 법 제도와 규범으로 재구성해야만 안전과 평화, 번영을 약속받을 수 있는 것이다.

코로나 충격파는 세계경제에 ESG(환경·사회책임·협치)를 지상의 화두로 던졌다. 신자유주의적인 금융자본의 선로가 생태계와 인간사회를 나락으로 떨어트릴 낭떠러지 앞에 놓여 있음을 깨달은 기업들은 새해 벽두부터 환경가치와 사회적 가치, 그리고 참여와 투명성을 최우선 목표로 재설정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 시대에는 약육강식, 승자독식의 경제에 빠진 경영 방식과 무한정한 욕망에 사로잡힌 생활방식을 무정부적으로 방치해 온 경제·사회·노동정책에 근본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가스 감축, 공정과 상생의 착한 기업으로 다시 탄생해야만 기업으로서 생존할 수 있는 현실이 경제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 사회질서의 안녕을 해치고 종국에는 사회적 감염병으로 퍼질 위험을 안고 있는 보편적 노동권의 상실, 불평등 심화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노동정책을 펼쳐야 한다. 일하는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는 정책이야말로 최우선 과제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새해 노동정책은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가 있지만 비상한 시대변화에 부응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최저임금과 노동시간, 고용보험 확대와 고용안정·생활안정 자금지원, 취업지원 등 미미한 개선이 전부다. 저출산과 고령화, 불안정 노동과 1인 가족 확대 등에 대비한 노동사회 재구조화 방안 모색은 보이지 않고 있다. 코로나 이후 시대 노동의 변화는 이미 필연으로 닥치고 있다. 비대면 시대의 일자리 변화, 생태환경 중심의 노동사회 변화에 대처할 정책을 서둘러 내놓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