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밝았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꺾일 기세가 보이지 않는다.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가 감염병 하나에 휘둘리는 현실은 역설적으로 우리네 삶이 긴밀히 밀착해 있으며, 인류가 지구 마을에서 살고 있다는 말이 헛말이 아님을 알게 했다. 감염병 앞에 나와 너, 우리나라와 세계가 하나임을 알게 된 만큼 그것을 이기는 방법 또한 똘똘 뭉치는 상생과 협력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바이러스가 비켜가는 사람이 있을 수 없는 만큼 모두가 국가적인 재난을 이기는 데 힘을 결집해야 하는 것은 맞다. 그러나 감염병 여파가 만인에게 균등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방역 전선을 누비는 의료 종사자들은 감당할 수 없는 격무를 겪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감염 위험에 가장 먼저 노출되어 있다. 자영업자, 소상공인, 대면 업종 종사자, 정부가 영업을 금지하거나 제한한 업종 종사자, 비정규직 노동자, 프리랜서 등은 생계의 벼랑 끝에 내몰린 이들이다. 방역위기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들의 회생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정부는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코로나19 위기 계층에게 돌아가는 피해가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의료기관 종사자뿐 아니라 택배노동자, 돌봄노동자 등 필수노동자들은 코로나19 사태에서 비로소 역할의 중요성이 발견된 이들이다. 이들의 희생을 통해 누군가는 번성을 누리기도 한다. 플랫폼 기반 사업장, 배달 관련 업종, 게임 업종, 가전 업계 등은 방역 사태와 연동하여 최대 호황을 맞았다. 코로나19 특수 업종이 자발적으로 수익을 사회에 환원하거나 종사자를 충당하기 바란다. 정부로서도 이익을 공유하도록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코로나19에 대한 언급 없이 집권 3년 동안 정부 정책 성과를 나열하면서 상생을 강조했다. 코로나19 피해가 특정한 이들에게 집중된 이상 조건 없는 상생을 언급하는 것으로는 국민을 설득하기 힘들다. 방역 위기를 이기는 데 온 국민이 협심하면서도 취약 계층을 지원하는 데 힘쓰는 것이 궁극적인 상생으로 돌아올 것이다. 서울동부구치소에서 확진자가 1000명 넘게 나오는 등 이번 사태가 드러낸 인권 취약 실태도 개선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