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 온실가스 배출 주범
지방정부 주 1회 채식급식 실천을

2020년,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 단어는 코로나19와 기후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생활이 무너지고, 기후위기는 이제 과학자, 환경운동가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층의 '툰베리'들이 외치는 구호가 되었습니다. 일상을 바꾸고, 정책을 바꾸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미국심리학회(APA)는 2017년 보고서에서 '환경파괴에 대한 만성적인 두려움을 느끼는 상태'를 기후불안증이라고 명명했습니다. 그리고 이 기후불안, 생태불안을 느끼는 젊은 세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기성세대가 기후위기에 따른 두려움을 미래세대에게 고스란히 고통으로 남긴 것 같아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죄책감과 책임감을 느낍니다.

이렇게 심각한 기후위기의 원인으로 온실가스 비중이 가장 큰 이산화탄소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2018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보고서 등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를 차지하는 메탄이 가축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또한 1990년 이후 사라진 열대우림의 70~90%는 축산업 때문입니다. 축산업을 위해 매초 4000㎡의 숲이 사라지고, 매년 우리나라 크기 정도의 열대우림이 사라지며 이 과정에서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사실은 불을 보듯 뻔합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보고서'에도 축산업을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30배 더 기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도 합니다.

지난해 6월 5일 전국의 지방자치단체가 선포한 기후위기비상선언문에는 '기후위기와 재난에 가장 먼저 대응하는 주체는 지방정부이며, 지방정부가 앞장서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렇게 환경보전과 기후위기 대응 의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하는 지방정부에 공공 채식급식과 채식선택권 보장을 제안합니다.

경남도 서부청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주 2회 채식의 날 선정, 울산은 주 1회 채식의 날을 지정하고, 학교급식에 월 3회 채식 및 채식선택권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창원시청 구내식당에서도 채식의 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남도는 채식 급식 확대를 결정하였고, 광주·전북은 수년 전부터 교육기관에서 주 1회 채식급식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채식 기본권을 보장하는 학교 급식 또한 늘어나고 있습니다. 경남교육청은 매월 2회 '전 직원 채식의 날'을 선정했습니다. 울산의 231개 교는 매달 2번 채식 식단을, 전북교육청은 주 1회 '고기 없는 급식'을, 인천교육청 또한 올해 6개 교를 선정하여 육식을 줄이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지방정부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으로 노력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확대, 에너지 전환 등의 장기적인 방식 외 오늘부터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주 1회 공공 채식급식을 시행해야 합니다. 일주일에 하루만 육식을 채식으로 전환해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25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안다면, 주 1회 채식 실천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온실가스를 줄이고, 지역 농가를 살려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시민들의 환경권과 건강권을 높일 수 있는 주 1회 채식 급식의 실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꼭 필요한 노력입니다. 지금 당장 실천해 주십시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