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74%…도민 임시노동 그쳐
출퇴근 거리·급여 조건 등 영향
양질 일자리 창출 기반 부족도

부산항 신항에서 일하는 상시노동자 10명 가운데 6~7명이 부산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과 경남 창원시 진해구에 걸쳐 있는 신항이 경남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려면 고용창출을 위한 접근성을 높이고 전문인력 양성 과정을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남연구원이 최근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항지역 근로자 거주 현황>을 주제로 연구보고서를 냈다. 신항 개장 이후 경남지역 노동자가 적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낮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정확한 현황을 파악해보려는 취지다. 이번 연구에는 비식별화한 통신사 자료(빅데이터)를 활용했다. 근무지는 크게 신항 컨테이너터미널과 배후단지로 나눴다. 노동형태는 하루 4시간을 기준으로 상시·임시노동자로 분류했다.

보고서는 신항 컨테이너터미널 상시노동자 가운데 경남 거주자가 25.5%(754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기타 0.1%(3명)를 제외한 나머지 74.4%(2199명)는 모두 부산에 거주했다. 시군구별로는 창원시 진해구(17.95%)가 높았고, 김해시(5.74%)를 제외하면 나머지 시군은 비중이 미미했다.

그에 비해 부산은 신항과 가까운 강서구(14.11%)뿐 아니라 남구(6.9%)·부산진구(6.69%)·해운대구(3.18%) 등 상대적으로 먼 행정구역까지 고루 분포했다.

전체 노동자 가운데 부산시 거주 비중이 높은 현상은 노동구역과 노동형태를 가리지 않고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임시노동자이거나 배후단지에서 일할 경우 경남 거주 비중이 소폭 늘었다.

컨테이너터미널 임시노동자 거주지는 부산 68.3%(6342명), 경남 26.2%(2438명)였다. 배후단지 임시노동자는 부산 43.3%(3621명), 경남 41.2%(3437명)로 비슷했다.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열악한 임시직 급여 조건과 신항 접근성 문제가 꼽혔다. 임시직은 장거리 출퇴근을 감당할 만큼 급여 조건이 좋지 않아 가까운 경남에서 일하기 쉽다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터미널 작업은 숙련 기술이 필요해 부산 북항 근무경험이 있는 사람이 일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경남 출신 배후단지 노동자는 물류업체 등에서 단순작업에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컨테이너터미널 노동자를 경남지역에 거주하도록 유도하려면 관련 지자체와 함께 도로망·교통망 확충계획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요청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광안대교·부산항대교·남항대교·을숙도대교 등 해안순환도로망을 바탕으로 신항 접근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경남 도민이 임시노동직에 머무는 실태를 개선하려면 지자체 차원에서 항만·물류 전문인력 양성과정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해양수산부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학부과정에 항만·물류 관련 학과를 둔 경남지역 대학은 경남대·가야대 2곳에 불과하다. 대학원 과정까지 포함하면 창원대까지 3곳이다. 이에 비해 부산지역은 영산대2캠·신라대·동서대·동명대·한국해양대·경성대 등 6곳이 있다.

보고서는 "신항 노동자가 경남에서 출퇴근하고, 경남도민이 신항 상시노동자로 고용된다면 도내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큰 효과를 거둘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