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대응 전략 토론회서 공공 유통 플랫폼 마련안 나와

'디지털 뉴스 시장'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지역언론은 소멸할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이시우(사진) 전국언론노동조합 경남도민일보지부장은 26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지역 언론의 디지털 미디어 대응 전략' 토론회에서 "지역 뉴스 소비자층이 '지역 뉴스·제작 프로그램'을 건전하게 소비하지 않는다면, 지역언론사 소멸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언론진흥재단이 올해 1월 펴낸 <2019 언론수용자조사>에 따르면, 종이신문으로 뉴스를 보는 시민은 2018년 17.7%에서 2019년 12.3%로 낮아졌다.

반면 인터넷(모바일+PC) 기반 매체 뉴스 이용률은 80%였고, 이 중 포털 기반 뉴스 이용률은 73.6%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일간지 종이신문 구독률은 1.9%에 불과하다는 결과도 있었다.

또 언론사 자체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10.9%에 그쳤고, '온라인 뉴스 콘텐츠를 유료로 이용할 의사가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1.5%만이 '유료 이용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이 지부장은 "국내 디지털 뉴스저작권 문제는 공공재 성격을 지닌 디지털 뉴스를 포털 업체가 사적 형태로 유통하면서 불거졌다"며 "그 바탕에는 2000년대 후반 조중동 등 서울 일간지들이 디지털 뉴스 전재료를 헐값에 받기 시작한 것과 클릭 수를 토대로 인터넷·지면 광고를 독점하겠다는 근시안적인 내부 정책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신문·방송이 생산한 뉴스는 온라인·모바일 디지털 뉴스플랫폼 이용자 중 70% 이상이 보는 네이버 모바일 뉴스 플랫폼에서도 배제돼 최소 기능성마저 원천 차단돼 있다"며 "지역언론사가 뉴스 제작만으로 생존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지부장은 지역언론 앞에 닥친 위기를 헤쳐나가려면 포털 독점적인 사적 유통 과정에 일정한 공적 재원을 들여 디지털 뉴스저작권을 현실화하거나, 디지털 뉴스 유통을 전담할 새로운 공공 유통 플랫폼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지부장은 현실적인 실천 방안도 제안했다. △신문산업 영역과 규모별 연구·신문산업 정책 방향 도출 △디지털 영역의 매출 구성비 영역·규모별 도출 △지역언론 뉴스의 최소 유통 채널 확보 △사회적 공론의 장 마련 △디지털 뉴스 유통 시장 정상화 기간 공적 재원 투입 △디지털 뉴스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발상 전환과 전략 수립 △언론노조 내 지역언론연석회의 구성 등이다.

이 지부장은 "지역언론은 디지털 대전환기의 대중 요구를 끝없이 연구하며 적절한 형식과 도구·내용을 생산해야 한다"며 "(새로운 공론의 장이 형성되기 전까지) 지역언론 노조와 종사자는 저널리즘 가치가 '덜 망가지는 방법'으로 재원 조달을 하도록 사측과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내부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