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 "공회전 방지·탄소 저감에 도움"
총괄계획가·공사 필요성 강조…환경·교통약자 위한 설계 제언

"창원 간선급행버스(BRT·Bus Rapid Transit)가 성공하려면 '사전요금 지급 시스템', '수평 승하차 시설' 구축 등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

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이 지난 23일 오후 7시 마산YMCA에서 열린 시민논단 '창원 BRT 사업을 진단한다'에서 강조한 말이다. 사소한 부분을 놓치면 나중에 엄청난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는 충고다. 또 더 나은 BRT 구축을 위해 총괄계획가를 위촉하고, 장기적으로는 지방공사 설립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20년 넘게 세계 주요 BRT를 연구한 전문가로, 대중들에겐 <꿈의 도시 꾸리찌바: 재미와 장난이 만든 생태도시 이야기>로 널리 알려졌다.

이날 박 소장은 BRT가 '땅 위의 지하철'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무엇보다 지하철처럼 '사전요금 결제 시스템'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지하철은 이용자들이 실시간으로 타고 내린다. 타기 전에 요금을 미리 내기 때문이다. 이게 핵심이다. BRT도 정류장에 들어설 때 먼저 요금을 내고 기다리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하지 않고, 현재 시내버스처럼 탈 때마다 요금을 낸다고 생각해 보라. 거의 한 정류장에 3∼4분 시간이 소요될 게 뻔하다. 사전요금제를 도입하면 정류장 엔진 공회전도 방지할 수 있어 지구온난화를 가속화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도 크게 줄일 수 있다."

▲ 지난 23일 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이 창원시가 추진하는 BRT 계획을 진단하는 강의를 하고 있다. /이창우 기자
▲ 지난 23일 박용남 지속가능도시연구센터 소장이 창원시가 추진하는 BRT 계획을 진단하는 강의를 하고 있다. /이창우 기자

박 소장은 이어 지하철처럼 BRT도 장애인과 노약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정류장과 차량에 문턱이 생기지 않도록 수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S-BRT(Super-BRT)라고 해놓고 그렇게 운용 안 하면 말이 안 된다. 안전문(스크린도어)과 안전펜스 등을 비롯해 차량과 정류장 높이가 세세하게 다 맞아야 한다. 그래야, 장애인과 노약자가 다른 사람 도움 없이도 탈 수 있다."

창원시는 총사업비 584억 원(국비 292억 원, 지방비 292억 원)을 들여 2020∼2023년 1단계 원이대로 S-BRT(도계광장∼가음정사거리, 길이 9.3㎞), 2단계로 2023∼2025년 3·15대로 BRT(육호광장∼도계광장, 길이 8.7㎞)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S-BRT는 전용주행로, 교차로 우선처리, 수평승하차, 전용차량 등을 활용해 지하철과 같은 수준의 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최고급형 BRT를 말한다.

박 소장은 3·15대로 구간과 관련해 마산 합성동 대현프리몰 창원점 상인 등을 언급하면서 민원과 여론수렴을 잘해야 한다고도 했다.

"BRT 통과지역 주민 의견을 잘 듣고 신중하게 설계해야 한다. 이걸 제대로 못해 자꾸 시끄러워지면 일 추진이 되지 않는다. 공무원들의 특성상 피곤해지면 일을 안 하려고 한다. 시민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능동적으로 푸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러면서 그는 "기후위기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대표적인 그린뉴딜 사업의 하나로 S-BRT 사업 격상 추진도 가능하다고 본다"며 "국내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S-BRT를 구축하는 만큼 전문가를 총괄계획가(master planner)로 위촉하고, 장기적으로는 BRT 시스템을 운영·관리할 지방공사 설립도 병행해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BRT 시스템을 창원시 공영자전거 '누비자'와 잘 연계하는 방법도 고민해야 한다고 하면서 "BRT가 창원에서 잘 안착하기 바란다"고 했다. 끝으로 그는 "철도(라고) 생각하고 버스를 이용하라"면서 강연을 맺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