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기준 비율 7년 만에 최고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득 하위 20%(1분위) 가구의 절반이 넘는 가구가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 긴 장마·집중호우로 일자리가 줄어든 데다 내수 위축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에 종사하는 영세 자영업자의 매출마저 위축된 결과다.

22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3분기 중 2인 이상 전국가구 중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은 50.9%를 기록했다. 적자가구는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보다 소비지출이 큰 가구다. 한마디로 번 돈 이상을 쓴 사람들을 의미한다.

소득·지출 내역을 들여다보면 이들 가구의 적자가 단순히 소비 행태의 문제가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버는 돈이 적어 필수 지출만 해도 원래 적자를 보는 구조인 가운데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이런 상황이 더욱 나빠진 것이다.

3분기 중 1분위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은 매월 163만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1.1% 줄었다. 근로소득이 55만 3000원으로 1년 전 대비 10.7% 급감한 가운데 사업소득도 27만 6000원으로 8.1% 감소했다.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2차 확산으로 내수 소비가 위축된 데다 긴 장마와 집중호우로 일거리마저 줄어 소득의 65%를 차지하는 근로소득과 19%를 차지하는 사업소득이 각각 10% 안팎 줄어버린 것이다. 정부 공적 지원금이 월 59만 5000원 투입됐으나 시장소득 감소 폭이 워낙 크다 보니 소득 감소의 흐름을 돌려놓진 못했다.

이들 가구는 지출을 1년 전보다 3.6%나 줄였으나 적자를 면치 못했다. 지출 규모가 매월 188만 1000원으로 소득 규모(163만 7000원)를 크게 넘어섰기 때문이다.

3분기 중 1분위 가구의 평균 적자는 매월 24만 4000원이었다. 분기 기준으로 하면 73만 2000원의 적자가 쌓인 것이다. 1분위의 적자가구 비율이 50%를 넘어선 것은 3분기 기준으로 2013년 이후 7년 만에 나타난 현상이다. /연합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