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8만 7000가구. 대한민국에서 집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 수다. 전체 가구 2034만 3000가구의 43.7%를 차지한다. 10가구 중 4가구는 다주택자가 소유한 집에서 전·월세로 사는 셈이다.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19년 주택소유통계>를 자세히 들여다 봤다. 1년 사이에 2채 이상 다주택자는 228만 4000명(15.9%). 2018년 7만 3000명에 이어 지난해 9만 2000명이나 늘었다.

다주택자의 보유세·거래세 강화 같은 부동산 규제를 해도 더 많은 집을 소유하려는 욕망이 수그러들지 않았다. 주거 안정을 위해 이곳을 누르면 옆에서 튀어나온다. 서울을 겨냥하면 지역에서 풍선효과가 생긴다.

정부는 서민 주거안정을 위해 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등을 담은 주택임대차보호법을 7월 말부터 시행했다.

주택 보유자의 저항에 전세난이 생기자 정부는 19일 추가 전세대책을 내놓았다. 비어 있는 공공임대 활용, 다세대·오피스텔 등 신축 매입약정, 빈 상가나 숙박시설을 주택으로 고쳐 2022년까지 공공임대 11만 4100가구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전부터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사업을 더 확대하는 방향이다. 시세보다 싼 전셋집에 살 수 있다면 무주택자에겐 단비다. 더구나 이리저리 옮겨다니지 않고 내 집 마련을 위한 징검다리 같은 보금자리라면 더할 나위 없다.

지방자치단체들도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을 펴왔다. 경남도는 맞춤형 청년주택 사업을 하고 있다. 올해 4월 창원 반지동에 청년공유주택 '거북이집 1호'가 둥지를 틀었다. 김해에 이어 사천과 고성서 사업이 진행 중이다.

집을 등에 지고 다니는 거북이처럼 큰 집은 아니지만 청년들이 주거비 걱정 없이 살며 토끼를 넘어설 거라는 희망을 북돋우려고 거북이집이라 이름을 붙였다 한다. 무주택자들에게 거북이집같은 보금자리 마련이 멀어지는 꿈이 아니라 이룰 수 있는 꿈이길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