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 서울 중심 행사 지적
"기념사업 간 연대·상생해야"

1960년 봄에 지역별로 전개된 민주화 운동을 아우르는 '4월 혁명'과 같은 개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화 운동이 공간적·시간적으로 단절되어가는 흐름을 막아야 한다는 내용이다.

3·15의거기념사업회가 지난 6일 오후 2시 창원 3·15아트센터 국제회의장에서 3·15의거 제60주년 기념 학술토론회를 열었다.

김장희 3·15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은 축사에서 "지역마다 민주화 운동 기념단체들이 민주주의 가치를 현재로 길어 올리고 있다"며 "뿌리 깊은 나무가 큰 그늘을 만들 듯, 다 함께 연대하고 상생하는 방법을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토론회 대주제는 '4월 혁명의 회고와 반성, 그리고 전망'이었다.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가 기조강연으로 3·15의거가 한국 민중운동사에서 갖는 역사적 의의를 짚었다. 3·15의거는 개항기부터 40년 이상 계승된 독립·민주주의 운동 전통을 다시 확인하는 사건이었다는 것이다.

이어서 토론회 1부에서는 3·15의거와 함께 1960년 각 지역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기념사업 주체 간 연대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펼쳐졌다. 김일수 경운대 교수와 이영조 배재대 교수가 각각 대구 2·28민주운동, 대전 3·8민주의거와 기념사업 전개과정을 소개했다. 이들은 공통으로 '1960년 민주운동'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영조 교수는 "4월 혁명은 어느 특정한 의거 하나가 이뤄낸 것이 아니다"라며 "지역 특성에 맞춘 사업 진행과 동시에, 각 민주화 운동의 특장점이 하나로 모일 때 가치는 극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성기 경남대 교수는 "'4·19혁명'이라는 명칭이 1960년 각 지역에서 연쇄적으로 벌어진 민주혁명 흐름 전체를 상징하지 못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4월 19일이라는 날짜, 기념사업 조직·제도 등 여러 부분에서 서울 중심적으로 진행되는 바람에 지역 민주화 운동 주체들의 반발을 불렀다는 것이다.

이후 대구 2·28민주운동, 대전 3·8민주의거, 마산 3·15의거는 4·19혁명과 함께 개별적인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다. 4·19혁명이 국가적 기념일인지, 서울 지역 기념일인지 그 정체성이 모호해져 버린 것이다.

정 교수는 각 지역 민주화 운동의 고유성을 인정하면서, 전체로 아우르는 '4월 혁명'으로 담아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헌법 전문과 관련 법령의 '4·19혁명'을 '4월 혁명'으로 고치는 방안을 제시했다. 1960년 봄에 일어난 한국 민주혁명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는 사실, 두세 달에 걸쳐 장기적으로 벌어졌다는 의미를 되살려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영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부소장 역시 "4·19에 대한 시민적 합의 수준을 점차 높여가는 과정에서 그 명칭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고 동의했다.

2부에서는 1960년 4월 11일 항쟁을 어떻게 기억할지 의견을 나누는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자들은 3·15의거와 4·11항쟁을 단절해서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 4·11을 강조하는 자체는 나쁘지 않다는 의견 등을 냈다.

지주형 경남대 교수는 "부마항쟁이 최근에야 조명된 이유 중 하나는 짧은 기간에 한정된 지역에서만 일어났다는 제약이었다"며 "3·15의거 역시 지역, 날짜에 집착하고 과거에 대한 기념에만 그치면 점점 잊힐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960년 봄에 일어났던 하나의 큰 혁명 속에서 이해된다면 오히려 더 오래 살아남고 기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