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서 41주년 기념 학술대회…지주형 경남대 교수 발언
"민주화로 형식적 자유 쟁취…사회 불평등 해소로 나아가야"

1979년 10월 부마민주항쟁은 항쟁 이후 1980~90년대 지역주의와 '3당 합당' 등으로 경남지역이 보수화하는 가운데서도 민주화세력이 뿌리를 잃지 않게 한 원동력이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지주형 경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지난달 30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부마항쟁 41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부마민주항쟁 이후 지역 민주화운동과 민주정치의 과제'를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주최로 지난달 29·30일 각각 부산·창원에서 열렸다.

지 교수는 선행연구를 통해 부마항쟁이 5·18민주화운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잊힌 항쟁'이 된 사실을 짚었다. 그러면서도 항쟁 참가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부마항쟁의 기억은 무크지 <마산문화>, 경남대 운동권, 제도정치권, 일반인, 노동운동에까지 큰 반향을 남겼고, 1987년 6월 항쟁에서 가시적인 결실을 거뒀다"고 말했다.

▲ 지난달 30일 부마민주항쟁 41주년 학술대회 3세션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주재석 민주노총 경남지부 조합원, 지주형 경남대 교수, 남재우 창원대 교수(사회자), 김주완 경남도민일보 이사(토론자), 이경옥 여성의당 경남도당위원장. /이창우 기자 irondumy@
▲ 지난달 30일 부마민주항쟁 41주년 학술대회 3세션 종합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주재석 민주노총 경남지부 조합원, 지주형 경남대 교수, 남재우 창원대 교수(사회자), 김주완 경남도민일보 이사(토론자), 이경옥 여성의당 경남도당위원장. /이창우 기자 irondumy@

지 교수는 경남지역 내 '부마항쟁의 기억'이 87년 6월 항쟁 이후 뿌리내리지 못한 원인으로 지역주의 고착과 3당 합당을 꼽았다. '6·29 선언'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을 비판적 지지했던 운동권은 지역 정치인이었던 김영삼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세력에 고립돼 약해졌고, 3당 합당 이후 경남지역이 완전히 보수화해 부마항쟁의 기억을 꺼낼 유인이 약해졌다는 것이다.

지 교수는 "김영삼의 제도 정치권과 결별하고 3당 합당에 참여하지 않았던 지역세력들이 결국 부마항쟁의 기억을 되살려 냈다"고 했다. 노무현을 비롯한 재야 세력과 마산·창원 출신 운동권 상당수가 제도권으로 진출한 뒤에야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출범하고 부마항쟁 진상규명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부마항쟁은 단순히 정치적 독재뿐 아니라 문화·경제적 억압을 포함한 총체적 폭력에 대한 항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화로 형식적 자유를 성취했지만, 빈부 격차·지역 격차를 비롯한 다양한 불평등으로 실질적인 자유는 얻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항쟁의 유산을 제대로 계승하려면 엘리트·자본의 자유에 그치지 않고 평범한 시민·노동자·빈민·약자·지역민의 자유를 지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3당 합당
1987년 6월 항쟁 이후 직선제로 노태우 대통령이 당선됐으나 1988년 총선에서 여소야대 정국이 되자 1990년 2월 여당인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총재 김영삼)·신민주공화당(총재 김종필)이 합당해 민주자유당(민자당)을 창당한 사건. 호남지역 기반의 평민당(총재 김대중)을 배제한 정치연합 성격으로 지역주의 심화 계기가 됨.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