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공공기관 이전 토론회
박양호 전 국토연구원장 발제
"일자리 5만 6000개 파생 기대"

창원으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국방연구원 등 수도권 소재 24개 연구개발(R&D) 공공기관이 이전하면 5년 동안 5만 6000여 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진주-창원-부산-울산을 잇는 '슈퍼 동남권 메가 혁신 벨트'로 도시·교통·관광문화·산업·스마트시티 등 5대 혁신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어 국가균형발전 정책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했다.

박양호 전 국토연구원장은 19일 창원시청 시민홀에서 열린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온택트 토론회' 기조발제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3개 공공기관을 옮긴 제1차 공공기관 이전 한계에 대해 "전국 각지에 혁신도시를 만들어서 공공기관을 골고루 나누어 주는 방식을 취하면서 집중에 의한 혁신효과는 줄어들었다"며 "제1차 공공기관 이전으로 진주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 등 11개 기관이, 울산에는 에너지경제연구원 등 9개 기관, 부산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13개 기관이 이전했지만 동남권 거점 도시 가운데 창원만 혁신도시 체계에서 소외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혁신은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창출해야 한다.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 50% 이상인 이른바 '포스트50' 시대의 출발점에서 새로운 혁신 메커니즘이 필요하다"며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새로운 혁신도시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창원이 △국내 최대 제조업 중심 국가산업단지 입지 △한국판 뉴딜의 상징인 스마트 그린산단 조성 중인 점 △울산-부산-창원-진주로 이어지는 혁신도시권의 중심축 등으로 과학기술 분야 공공기관 이전 최적지로서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산업단지 연계 과학기술 R&D, 정보통신·신소재·생명과학 등 창원시 역점 산업육성 관련 공공기관, 국가산단, 마산자유무역지역, 신항 연계 국제무역 관련 등 24개 안팎의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을 창원으로 유치하면 5년 동안 5만 6000개의 일자리(24개 공공기관 유치 시 창원 전 산업에 파생되는 일자리 수)가 늘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동남권은 인구 100만 이상인 울산-부산-창원의 3개 대도시가 상호 인접해 거대한 하나의 '통근 영향권'으로 강력하게 결합된 일상 메가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며 "이 가운데 창원시가 동남권의 중앙지역을 차지하는 대도시이며 가장 광역화된 '통근 영향권'을 지녀 창원 내 공공기관 이전 시 상호 성장연계 효과가 가장 높을 것이다. '슈퍼 동남권 메가 혁신벨트'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주제발표를 맡은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은 기계·금속, 전기장비가 주력산업인 창원은 제조업과 연관성이 큰 공공기관 이전 시 지역산업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을 적합한 대상기관으로 꼽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