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복지재단이 장진규 이사장 등 임원진 구성을 마무리함으로써 법인 등기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 재단 설립을 통해 창원시 복지전달체계가 획기적으로 바뀔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시 복지여성보건국이 설립을 추진한 재단은 애초 8월 말 개원할 예정이었지만 한 달여 늦추어졌다. 그러나 그동안의 추진 과정을 보면 빠른 시간 안에 착착 진척되었다. 창원시는 지난해 7월 주민공청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한 이후 9월 설립 타당성 검토를 마쳤고 올해 1월 경남도와 복지재단 설립에 관한 협의를 마쳤다. 5월에는 '창원시 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시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이는 복지전문기관으로서 재단에 거는 기대와 관심이 크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재단 특징은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시도한 데 있다. 인구 100만 명의 대도시이자 42%의 복지예산을 투입하는 창원은 복지정책의 효율적 운영과 지역특화전략을 위한 새로운 동력이 필요했다. 창원시는 민간과 공공의 결합에서 그 길을 찾았다. 비영리법인으로서 재단은 민관이 공익이라는 공통 목표 아래 만나 각자 장점을 결합하여 창원 복지정책을 총지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재단은 코로나19 사태에서 긴급생계비나 재난지원금 지급 등 정부 복지전달체계가 효율적이지 못한 부분을 노정함에 따라 대안으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복지 대응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사각지대가 적극적으로 발굴되거나 구제되지 못한 것이었다. 민관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한국 복지의 가장 취약한 점이 해소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창원시는 복지자원의 효율적 관리, 사회복지사업 확대에 따른 서비스 품질 향상도 기대한다. 시민이 살갗으로 느끼는 복지정책 효과를 내기 위한 관건은 공공의 자원 동원 역량과 민간 창의성이 순조롭게 결합하는 데 있을 것이다.

창원시가 재단을 주도적으로 설립하고 민간 출신 인사들을 다수 배치하는 정도로 민간의 성격을 가미한 정도에 그쳤다는 인상이 없지는 않다. 민관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다면 복지정책기관을 하나 더 만드는 것이 될 수도 있다. 창원시와 재단은 기대와 우려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