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715곳 구축…연 500곳·2022년 3000곳 목표 순항
보급 넘어 고도화해 경쟁력 강화 '공장별 1억'지원

경남도가 위기에 빠진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구원투수'로 내세운 스마트공장 구축에 속도가 붙었다.

도는 2022년까지 도내 중소 제조기업 3000곳 이상을 스마트화하는 계획에 따라 뚜벅이 걸음을 걷고 있다. 2014년부터 올해 7월까지 스마트공장 1715곳이 구축됐다. 특히, 올해는 신규 구축과 더불어 고도화 사업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제고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겠다는 목표다.

◇현재까지 1715개 스마트공장 보급 = 경남도는 지난해까지 1535곳을 보급했다. 올해는 180곳이 스마트화를 완료했다.

스마트공장 보급은 정부사업과 민간사업으로 나뉘는데, 민간 영역은 대기업의 자본과 기술력을 활용해 중소기업과 협업하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경남의 스마트공장 보급에 지방정부 주도 기술혁신 거점기관인 경남테크노파크가 앞장서고 있다.

2014년 27개에 불과했던 경남의 스마트공장은 2015년 89개, 2016년 171개, 2017년 232개, 2018년 371개, 2019년 645개로 증가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정부 지원이 1501곳(87.5%)이고, 나머지 214곳(12.5%)은 삼성 등 민간 기업을 통해 보급됐다. 지역별로 김해시가 498곳으로 가장 많고, 창원시 452곳, 양산시 234곳, 함안군 117곳, 진주시 96곳, 사천시 52곳, 밀양시 44곳 순이다. 올해 보급한 스마트공장 180곳 중 창원이 65곳, 김해가 43곳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대부분 기초단계 스마트공장 = 스마트팩토리의 발전 수준은 기초(레벨1·2), 중간1, 중간2, 고도화 등 4등급으로 나눌 수 있는데, 도내 기업들이 도입한 스마트공장은 대부분 기초 단계다. 경남의 스마트공장 도입 수준은 '레벨1'이 485곳, '레벨2'가 937곳으로 80% 이상을 차지한다.

생산이력 추적관리와 일부 공정을 자동화하는 수준이다. 도입 시스템은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을 위한 ERP(전사적자원관리), MES(제조실행시스템)와 같은 자원관리 운영시스템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MES는 생산계획, 자재흐름, 품질정보 등 실시간 데이터를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 관리해 생산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도내 스마트공장의 72%(1160곳)가 도입했고, 재무·영업·물류·생산·설비 등 회사 경영 전반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ERP는 14.4%(19곳)가 선택했다.

◇고용·생산성 모두 늘어 = 김해 ㅅ사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이후 매출과 고용이 눈에 띄게 달라졌다. 이 기업은 2015년 652억 원이던 매출이 스마트공장 도입 후 2017년 805억으로 23.5%나 증가했고, 이 기간 직원 수도 30명 늘었다. 불량률은 36% 줄고, 서류작업시간은 56% 줄어 직원들이 다른 일에 집중할 수 있다.

이렇듯 스마트공장은 제조 데이터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능형 공장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 제조혁신의 필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은 생산성을 30% 향상할 수 있고, 불량률 43.5%, 원가 15.9%, 납기 15.5% 줄일 수 있다. 산업재해도 22% 감소했다. 기업당 고용은 평균 2.2명이 증가하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한 단계 높은 스마트공장 추진 = 경남도는 해마다 500곳씩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000곳 구축을 목표로 잡고 기업들에 다양한 행·재정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 목표는 500곳이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는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에 집중했다. 그 결과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 1535곳이 보급됐다. 전국적으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올해부터 경남도는 제조기업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트를 수집·저장해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 기반의 클라우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추진한다. 도는 이를 위해 공장별로 1억 원씩 지원하고, 단계적으로 금액을 더 확대할 계획이다.

정용선 경남테크노파크 스마트제조혁신센터장은 "스마트공장 도입이 기업의 기술 경쟁력과 사업 확대에 도움이 되는 만큼 중소기업이 자생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인력 양성, 기술 확보, 판로 개척까지 지속 가능 체계를 구축하는 종합지원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