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대표 수산물인 홍합이 근년 들어 해마다 남동해 양식장에서 집단 떼죽음을 겪음에 따라 비상이 걸렸다. 올해는 예년보다 피해 범위가 더 커져 적게는 70%에서 최대 90%까지 양식 홍합이 폐사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정부와 경남도가 어민 피해 지원에 신속히 나서야 할 때다.

지난 수년간 홍합 집단 폐사가 발생했지만 올해 피해는 유례가 없는 일이다. 예년에는 무더위로 인한 해수온 상승이나 적조의 빈번한 발생이 홍합 폐사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올해는 아직 폭염이 닥치지 않은 기후임에도 폐사 피해가 더 커진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국립수산과학원이 가장 최근 조사한 4월 남해 동부 해역 어장 환경도 해수온 등에서 예년과 별반 차이는 없었다. 폐사 원인으로 추정 가능한 바는, 육지에서 유입되는 유기물 농도가 증가하는 등 바다 오염이 심각해지는 현실이 홍합 집단 폐사와 관련이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빈번해지는 빈산소수괴(산소가 빈약한 물덩어리) 발생이 홍합 폐사 시기와 맞물리는 점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부와 경남도는 남동해 해역 어장 환경을 정밀히 조사하여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여름마다 겪어야 하는 적조 발생이나 양식 어류 집단 폐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적 측면에서 양식 산업의 구조적인 개편도 필요하다. 경남도도 이에 발맞춰 2019년부터 5년간 165억 원을 지원해 패류 양식 분야에서 지역별 특화품종 육성 등 양식 산업 구조 개편을 추진해 왔다. 이 중 홍합은 창원 해역 특화품종 육성 대상으로 선정되었지만, 홍합은 생장 과정에서 여름 무더위와 적조 위기를 통과해야 하므로 생육 조건이 까다롭다. 더욱이 대부분 양식 어류는 연중 생산이 불가능하고 같은 시기에 대량으로 출하되므로 가격 급락을 피할 수 없다. 노동집약적 재래양식을 기술 중심으로 재편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 그러나 산업구조 개편에서도 해양환경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와 경남도에 바다오염이 어류 양식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 조사하여 이번의 홍합 폐사 원인을 규명하고, 환경친화적인 양식업 전환에 힘쓸 것을 촉구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