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낙동강 수질 개선' '공급 다변화'를 골격으로 하는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을 지난 5일 공개했다. 환경부의 방안은 영남지역 5개 광역지자체 입장을 반영한 것이고, 과거에 논란이 되었던 지리산댐이나 남강댐을 통한 부산시 상수도 공급을 포기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해 환경단체는 보 개방을 요구하고, 발표된 방안의 실현성에 의문을 표시하였다. 또한 황강 하류와 창녕 강변 취수지역 농민들은 농축산업 피해 대책을 요구하였다.

기본적으로는 창녕의 강변여과수를 통해 상수원을 확보하겠다는 것이 새로이 받아들여진 것이고, 이는 그동안 시험 생산을 통한 결과를 어느 정도 수용한 것이다. 보 개방은 이미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따른 생태계 회복을 확인한 바 있으므로, 추후 긍정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역시, 인근 농가의 작물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설득력이 있다.

현재 나타난 문제는 결국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정부 당국자와 이로 인해 영향을 받는 주민들 간 신뢰가 형성되지 않아서, 설사 정책이 타당하다 할지라도, 추진과정에서 피해가 발생하고, 이를 피드백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기에 불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은 결국 수질과 수량 정보를 투명하게 수집하여 공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업 집행을 모니터링하는 방안밖에 없다. 환경단체가 반대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에 들어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스마트 축산단지 프로그램이나 국토교통부의 국가하천관리 디지털화 정책이다.

아울러 낙동강 수질 악화의 요인들인 농축산 오염원, 생활하수, 공장용수 오염원을 차단할 수 있는 사업을 가속화하길 촉구한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스마트 축산단지는 고성군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바, 낙동강 수계지역에서도 조속히 광범위하게 진행하길 기대한다. 특히 대구 지역 생활하수와 공단 배출 오염수 관리를 더 철저히 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