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대학 교수팀에 연구 의뢰
1∼3세대 2700명 모집해 조사
연관성 파악해 지원 정책 활용

원폭 피해자 후유증이 대물림되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된다.

5일 합천서 열린 '2020 합천비핵평화대회'에서는 '피폭 1·2·3세대 코호트 구축 및 유전체 분석 연구 계획'이 발표됐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5월 한양대 박보영(예방의학교실)·남진우(생명과학과) 교수팀에 의뢰한 이번 연구는 방사능이 인체와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성을 파악하고 유전체 분석을 통해 자녀 등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을 조사한다.

특히 연구는 원폭피해 1~3세대 2700명을 모집해 설문조사, 가계도 구축, 신체 계측을 포함한 건강검진을 시행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암 등록자료, 사망자료 등과 연계해 그 결과를 일반 인구와 비교하는 유전체 분석연구를 시행한다. 첫해인 올해는 300명을 조사하고 이 중 60명(20가족)은 유전체 검사를 진행한다. 연구 결과는 2024년 말께 나올 예정이다.

박보영 교수는 발표문을 통해 "원폭 피해자 실태조사는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연구 결과 원폭 피해자와 자녀들은 신체적·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차별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원폭 피해의 세대 간 연관성을 분석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을 활용한 유전체 분석과 유전체 변이를 조사해 유전성 여부를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원폭 피해자와 2·3세대에서 여러 요인에 의한 질병 발생과 유병에 있어 원폭 노출, 사회경제적 환경, 생활습관, 유전적 요인 등을 포함하는 연구를 수행해 원폭 노출의 생애와 세대를 걸친 보건학적·의학적 관리 대책 및 정책 수립 근거를 제시할 것"이라고 했다.

그동안 원폭 피폭자와 후손들에게 희귀성 난치병 발생이 높다는 실태조사가 진행돼 왔다. 하지만, 피폭 후유증 대물림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확인된 바 없다. 이로 말미암아 피폭자 후손들이 희귀성 난치병을 앓고 있어도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없었으며 원폭 피해자로도 인정받지 못했다.

한국원폭피해자협회 심진태 합천지부장은 "피폭 1세대는 대부분 사망했다. 후유증으로 고생하던 2세대도 많은 이들이 사망했다"며 "이번 연구도 앞으로 상당 기간이 걸린다. 피해자가 다 돌아가신 다음 결과가 나오면 뭐하겠느냐. 실질적인 지원대책과 연관되는 사업이 수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945년 8월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당시 한국인 10만여 명이 원자폭탄에 피폭됐고 이 중 5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살아남은 피해자 5만 명 중 70%가 합천 출신으로, 현재 전국에 2100여 명이 생존해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