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선 선생 등 후손 요청
정재상 재야사학자 도움

하동군 악양면에 거주하는 재야사학자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이 광복 75주년을 맞아 의령군 출신 3·1독립운동가 박재선(1888∼1951·부림면) 선생 등 6명의 서훈을 청와대에 청원했다.

정 소장은 박재선 선생의 독립유공 서훈을 위해 선생의 며느리인 정옥이(87·창원시 마산합포구) 씨 요청으로 후손을 대신해 의령군 신반리 3·1만세운동 주동인사 6명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청원서를 올렸다고 3일 밝혔다.

이 같은 청원은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독립운동가를 발굴한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정옥이 씨가 윤상기 하동군수와 정재상 소장을 찾아 도움을 요청하면서 이뤄졌다.

▲ 정재상(왼쪽) 소장과 독립운동가 박재선 선생 며느리 정옥이 씨. /하동군
▲ 정재상(왼쪽) 소장과 독립운동가 박재선 선생 며느리 정옥이 씨. /하동군

정 소장은 청원서에서 "의령군 출신 박재선 선생은 100년 전 일제의 침탈에 항거해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몸을 던졌다"며 "3·1운동 101주년이 지나고 광복 75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도 아직 독립운동가의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분이 있어 그 사연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선생과 함께 활동하다 징역 10월을 치른 정주성, 징역 6월 김용구·이동호, 태형 90대를 받은 최영열·박우백 선생도 독립유공자로 인정해줄 것"을 청원했다.

'삼일운동사'(국가보훈처 전자사료관)와 <의령군지> 등에 따르면 박재선 선생은 1919년 3월 15일 의령군 신반리 장터에서 정주성, 황상환, 최한규, 장용환, 김용구, 이동호, 최영열, 박우백 등과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검거돼 태형 60대를 선고받았다. 하지만 선생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함께했던 이들 중 최한규(건국훈장)·황상환(대통령표창)·장용환(대통령표창) 선생 3명만 독립유공자로 인정됐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