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주최 대토론회 열려
"교각 건설에 읍성 성돌 사용"
유지 효능·활용 등 의견 나눠

밀양강 철도교 교각은 120여 년 역사를 가진 문화재로 가치가 높아 철거하지 말고 존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새 철도교가 준공된 후에도 현 철도교를 그대로 보존하려면 안전성·유지관리비·활용성 세 가지 쟁점을 따져봐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영남대로복원추진위원회는 지난 28일 오후 7시 밀양청년회의소에서 '밀양강 철도교 시민 대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박순문 변호사(밀양문화원 이사), 김동필 부산대 교수, 최인철 밀양시 교통행정과장, 박창권 전 합천부군수(사회자), 밀양강 철도교 개량공사 관계자, 밀양시민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박 변호사는 "하행선 교각의 화강석은 밀양읍성 성돌(1479년 축조)로 추정된다"며 "일본이 1903년 4월부터 1904년 4월까지 교각을 만들 때 조선 정신이 깃든 문화재(밀양읍성)를 말살하고자 철로 밑 교각으로 성돌을 가져다 쓴 것으로 보인다"고 교각 가치를 설명했다.

최 교통행정과장은 "심한 소음과 진동으로 철도교 인근 주민의 주거환경이 침해돼 2018년 4월 개량공사에 착수했다"며 "2019년 9월 하행선 교각의 문화재 가치를 평가분석하는 용역을 의뢰해 오는 9월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성돌로 교각이 만들어졌는지 고증이 필요해 토론회 내용, 용역 결과, 시민 의견 등을 종합해 객관적 근거를 마련하고 나서 철도교 교각 존치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철도교를 존치할 경우 안전성 문제는 우려할 만큼 불안하지 않다는 견해가 많았다.

김 교수는 "교각이 120년 수명, 성돌은 540년 가치가 있어 안전성 문제는 그리 크지 않다고 본다"며 "1905년 개통한 왜관 철교(경북 칠곡)는 2011년 4대 강 사업으로 무너졌는데도 복원해서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고 말했다. 박 변호사도 "교각이 상당히 견고하고, 밀양댐이 건설돼 홍수 때 수량 조절도 잘되고 있다"며 "새 철도가 완공되면 현 철도엔 기차가 안 다니기 때문에 안전성 문제는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최 교통행정과장은 "현 철도교는 2014년 정밀안전 진단 시 C등급을 받았고 노후화·누수·파손으로 24회 보수 공사를 했다"면서 "교각을 보존하려면 다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지 관리 비용과 관련해 박 전 부군수는 "몇백억 원이 든다고 터무니없이 얘기하는 사람이 많은데, 현재 예정된 철거비 84억 원만으로도 유지 관리할 수 있다"며 "1920~30년대에 제작된 12개 철교 중 일부는 국토부가 관리하고, 문화재로 등록되면 문화재청과 경남도비가 투입된다"고 말했다. 박 변호사는 "철도교 교각은 시민 마음속 추억이고 자산이며 정신이다. 시가 어느 정도 관리비를 감수해도 좋을 가치가 있다"고 했다. 김 교수도 "교각 창조물을 오래 간직하려는 책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문화재 유지 관리는 밀양시민이 갚아야 할 빚"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최 과장은 "철도교 존치 여부가 결정돼야 유지 관리 비용과 활용도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활용성을 놓고서는 관광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야간 명소나 공원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 교수는 "문화재 가치 1위는 존재, 2위는 활용성"이라며 "뉴욕 하이라인파크 고가철교, 남아프리카공화국 셀라티 철교처럼 공원으로 조성하거나 서울로 7017, 섬진강·왜관 철로, 프랑스 볼로레 철도, 베트남 하노이 철도처럼 걷는 길로 활용하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박 변호사는 "모든 유적의 훼손을 결정할 땐 최우선적으로 문화재 가치와 역사성, 애로점 등을 시·의회·위원회·시민이 면밀히 종합 검토해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