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연구원 정부 정책 강조
창원상의 원전산업 유지론
수소산업 선도 기회 주장도

세계적 재생에너지 확대 흐름과 정부 에너지 전환 정책으로 창원 지역 산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산업계·학계·연구기관·지자체가 함께 미래를 고민하는 자리가 펼쳐졌다.

경남대와 창원대 링크플러스사업단이 지난 24일 오후 2시 창원컨벤션센터 3층 컨벤션홀에서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전략 토론회'를 열었다. 이 토론회는 창원시가 후원했다.

<경남도민일보>는 전문가들의 다양한 견해를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판단을 돕고자 제1세션 주요 발제와 제2세션 토론 주요 내용을 지상중계한다.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전략 토론회' 주제발표에서 각 발제자는 지역 산업계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저마다 다른 해법을 내놨다.

업종 다각화로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의견부터 백지화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는 의견, 수소산업을 일으켜야 한다는 의견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 정책 받아들이고 업종 다각화해야 = 곽소희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원은 원전 공급 업체들이 적극적 업종다각화로 정부 에너지전환정책에 대응해야 한다고 봤다. 곽 연구원은 정부가 에너지전환 정책을 발표한 지 3년 가까이 지났지만, 원전·석탄발전을 줄이고 LNG·신재생 발전을 대폭 늘리는 등 핵심 기조는 그대로라고 했다. 이대로라면 제조업 주력인 창원지역 업체들은 설계업 비중이 높은 수도권보다 더 많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2017년에서 2018년 사이 출하액·종사자 수 변화만 봐도 전국평균보다 상황이 심각하다고 했다.

곽 연구원은 정부·지자체가 업종 다각화를 지원해 위기에 빠진 원전 공급업체가 혁신성장산업으로 전환할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창원시와 경남도가 지난 5월 출자한 305억 규모 정부 에너지혁신성장펀드 1호가 좋은 예다. 펀드의 50% 이상이 원전 관련 기업에 투자될 전망이다.

▲ 창원대와 경남대 LINC+(산학협력 선도대학)사업단이 함께 주최하고 창원시가 후원한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 전략' 토론회가 24일 오후 창원컨벤션센터 3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 창원대와 경남대 LINC+(산학협력 선도대학)사업단이 함께 주최하고 창원시가 후원한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른 지역산업계 생존 전략' 토론회가 24일 오후 창원컨벤션센터 3층 컨벤션홀에서 열렸다. /김구연 기자 sajin@idomin.com

◇'업종 다각화 한계, 신한울 3·4호기 지어야 = 윤종수 창원상공회의소 회원지원본부장은 원전 공급 업체 업종다각화는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핵심기술 보유업체 상당수가 취약한 재무구조 탓에 신규 원전 수주 없이는 사업을 유지하기도 버겁다는 이유다. 윤 본부장은 조선·자동차 산업에 진출하려 해도 이미 포화상태라 어렵다고 말했다. 또한, 원전 해체 역시 건설과 비교하면 사업규모가 작은데 다 시기가 늦어 대체사업이 될 수 없을 거라고 판단했다. 그사이 원전생태계가 붕괴하면 예비·정비 부품 공급이 어려워져 가동 중이거나 수출할 원전 운용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윤 본부장이 내세운 해법은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였다. △지역경제 회복 △일자리 창출 △원전 수출에 대비한 산업 생태계 유지 등 세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다는 논리다.

◇"국민도 이념 상관없이 원전 찬성해" = 주한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 역시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탈원전정책에 따른 폐해로 △한국전력 대규모 적자 △원전산업계 몰락 △가스 수입비용 증가 △온실가스 증가 등을 꼽았다. 그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 사업재원까지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주 교수는 국민 여론도 이에 호의적이라고 했다. 올해 5·6월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원전을 찬성한 응답자가 더 많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 총선 결과, 이념과 상관없는 결과였다는 것이다.

◇재생에너지 시대, 수소산업 일으켜야 = 임희천 한국수소산업협회 기술부회장은 재생에너지 시대가 오고 있고, 그 중심에 수소가 놓이게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러면서 창원시가 수소산업을 일으켜야 하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수소가 지금의 전기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재생에너지는 계절별로 생산량 변동이 큰데 잉여전력을 수전해 기술로 수소로 만들어두면, 이를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소는 전기로도, 가스로도, 기타 화합물로도 바꿀 수 있는 데다 저장도 가능한 까닭이다.

임 부회장은 창원시가 수소산업 진흥에 적합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봤다. 시가 지난 2015년 내놓은 2030 미래전략 보고서 정책과제 중 하나로 '수소과제 선도'가 들어간다는 것이다. △수소충전소 구축 △수소차 산업육성 △연료전지 개발 △산업단지 조성 등의 내용이 담겼다. 그는 창원시에 수소차 부품업체가 105곳, 연관산업이 2500곳이 있는 등 국내에서 관련업체들이 가장 많이 모인 곳이라고 덧붙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