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의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 사업'이 모금 참여 저조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위로가 없어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한이 풀릴 기미가 없는데 경남지역의 기억마저 희미해질까 봐 걱정스럽다. 역사는 그냥 이어지는 게 아니라는 것은 약소국으로서 역사가 유린당한 경험치로 이미 체득했다. 역사관 건립 사업은 역사를 오롯이 기억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 사업은 97개 시민단체가 '경남지역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지난해 10월 28일 공식 출범하며 시작되었다. 하지만 모금으로 자금을 마련하려 한 계획은 정의연대 사건 여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2일 기준 600명 정도가 역사관 건립 모금 운동에 참여하여 목표치인 15억 원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보호·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제13조 1항에 근거해 지자체로부터 역사관 터를 무상으로 받은 뒤 그 자리에 역사관을 세우겠다는 계획도 해당 지자체들의 미온적 반응으로 진척이 없는 상태이다.

역사관 건립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정의연대 사태로 사업의 순수한 취지가 의심받은 것은 가장 아픈 부분이다.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사정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경남도민은 역사를 오롯이 품어 내는 저력이 있다. 임진왜란 때 의병의 궐기와 항일 투쟁 정신은 지금도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다. 경남은 일제 만행이 가장 먼저 시작되고 철저히 유린당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위안부의 아픈 역사도 그대로 남아 있다. 잘못이 있고 우선 살기가 급급하다고 해도 목표한 자금을 모으지 못하고, 터를 마련치 못해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남겨서는 안 된다.

다행히 경남도가 터 마련 등 요청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 한다. 그러나 전적으로 지자체에 의존하는 것은 사업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없다. 추진위원회가 분발하고 도민 모두 역사를 오롯이 인식하는 차원에서 돌 하나를 보태는 심정으로 손을 내밀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