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통영 등 지자체 문화도시 지정 도전
예산 끊겨도 살아남을 자생력 확보 중요

11일 진행된 창원시 '시민문화공간발굴단' 활동에 참여했다. 발굴단 2차 탐방 코스로 북동샘, 이원수 집터, 창원읍성지, 김종영 생가, 경전선 용강 폐터널을 둘러봤다.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발굴하려는 여정이었다. 지역의 독특한 문화를 내세우며 지속 가능한 문화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하는 게 '법정 문화도시' 사업이다. 2018년 말 전국에서 7곳이 선정됐다. 부천·원주·천안·청주·포항·부산 영도, 그리고 서귀포.

1차에 선정된 도시 면모를 보면 지역의 특성을 잘 살린 문화 아이템이거나 시민이 주체로 형성된 문화 시스템임을 알 수 있다.

경남은 김해시가 1차 공모에 예비문화도시로 선정됐지만, 최종 심의에서 탈락했고 통영시는 2차에서 예비도시로 선정돼 올 연말 정식 지정을 기다리고 있다. 3차 예비 문화도시 공모도 진행 중이다. 창원과 진주, 밀양, 그리고 거창이 도전하고 있다.

문화도시는 2022년까지 전국 30곳을 목표로 매년 5∼10곳이 지정되는데, 아직 경남에는 지정된 곳이 없다. 사업에 선정되면 앞으로 5년간 국비와 지방비 매칭으로 최대 200억 원을 지원받는다. 200억, 사실 지자체 단위 사업으로 치면 그다지 큰돈은 아니다. 건물 하나 지으면 흔적도 남지 않는 금액이다. 그럼에도, 전국의 유수 지자체들이 이 법정 문화도시에 선정되려고 수많은 예산을 편성해가며 노력하고 있는 것일까.

창원만 하더라도 벌써 2016년 7월 '문화예술특별시' 선포에 이어 2017년 5월 문체부로부터 '창원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지정, 그해 11월 창원시 문화예술교육지원조례 제정, 2018년 12월 창원시 문화도시 조성 및 지원조례 제정 과정을 거쳤다. 이에 따라 '창문'이라는 문화기획자 양성 과정도 마련하고 창원살롱G, 타운홀미팅, 시민문화 거버넌스 구축, 청소년 해커톤대회, 찾아가는 예술 배달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모두 시민 손으로 특색있고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를 만들고 가꾸기 위함이다. '시민문화공간발굴단' 활동도 창원문화특화지역조성사업의 하나다. 폐기된 시설이나 유휴 공간, 이용이 저조한 곳을 찾아 문화적 재생을 통해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함이다. 시민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보면서 문화도시의 미래를 예감한다. 올해 공모부터는 지역 기반 사업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고자 유관 사업 간 연계와 협업을 얼마나 잘하는지, 도시재생과 인문도시,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얼마나 잘 활용하는지에 가산점이 부여된단다. 문화도시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는 조치일 것이다.

지원사업 대부분은 한계가 있다. 예산이 끊기면 사업의 생명줄도 끊어진다. 문화도시 사업은 지원 기간이 5년이다.

관건은 지속 가능한 생명력을 얻는 것이다. 그러려면 그 안에 자생력을 갖춰야 한다. 전문적인 기획자를 많이 양성해야 하고 그들에게 책임감 있는 역할을 부여해야 한다는 걸 활동 과정에서 절실히 느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