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환경단체·주민 등 참여
"수익성·실현가능성 떨어져"
인접 지역과 공동 대응 추진

알프스하동 프로젝트 사업에 반대하는 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원회가 구성됐다. 반대대책위는 앞으로 지리산과 인접한 지역의 시민사회단체 등과 연대해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대표 박남준 시인)는 11일 오전 하동군 화개면 다향문화센터에서 출범식과 함께 기자회견을 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마산창원진해·진주·사천환경운동연합과 광양환경운동연합, 지리산생명연대, 녹색당 경남도당, 정의당(남해·하동), 반달곰친구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지리산인, 섬진강과 지리산사람들, 하동참여자치연대, 하동생태해설사회, 지역 주민 등 150여 명이 참여했다.

반대대책위는 기자회견문에서 "이 사업은 환경성, 공익성, 경제성, 기술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산된 여러 산악개발사업의 재탕에 불과하므로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대대책위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한 산악관광 활성화 사업이 좌초되자 새롭게 꺼내 든 카드가 2019년의 산림휴양관광특구 지정, 올해의 산림휴양관광진흥법 추진"이라면서 "이는 국립공원 개발계획이 국민적 반대 여론에 밀려 무산되자 국립공원 인접지역을 관광특구로 지정하는 우회적 방법으로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하동 형제봉 일대는 지리산국립공원과 이어진 능선으로 반달가슴의 주요 서식지이며, 국립공원 밖이지만 국립공원과 다를 바 없는 지역인 만큼 이번 개발사업은 결국 전국의 국립공원을 개발의 광풍으로 몰아넣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 하동 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원회가 지난 11일 화개면 다향문화센터에서 출범식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다.  /허귀용 기자
▲ 하동 지리산산악열차 반대대책위원회가 지난 11일 화개면 다향문화센터에서 출범식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었다. /허귀용 기자

반대대책위는 특히 "국토교통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산악철도 기술 실용화 수준은 58.9%에 불과하고, 모노레일은 국내 운행 중인 22개 노선 중 흑자는 단 2개에 그치고 있으며, 순천·문경·통영 등 많은 곳은 경제성 부족으로 운행이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하동군 사업은 3개 사업을 동시에 4년 만에 추진하는 것이 목표인데, 실현가능성은 물론 사업의 진정성까지 의심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스위스 융프라우 산악열차조차 연말 300만 명이 넘는 이용객에도 연간 총매출액의 0.3% 안팎인 27억 원의 흑자밖에 내지 못하고 있다"며 "하동군이 사업을 강행하면 전국 최초로 지자체 파산이라는 비극적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박남준 대표는 "산악관광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명분으로 진행되는 이번 사업은 전면 재검토해야 하고, 최소한 지역 주민의 의사를 묻고 동의를 구하는 오랜 과정을 거쳐 신중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대대책위는 기자회견을 마친 후 화개장터 등 화개면을 돌며 거리행진을 했다. 이들 단체는 앞으로 지리산 개발 사업이 지역에 국한된 사안이 아닌 만큼 전국으로 확산해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반대대책위를 중심으로 해서 지리산과 인접한 하동·함양·산청·구례·남원 5개 지역 대표를 구성하기로 했다. 5개 지역 대표 모임은 14일 남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특히 이 사업이 '한걸음 모델'에 선정됨에 따라 기획재정부 주도로 꾸려진 산림관광 상생조정기구를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하도록 요구할 계획이다. 이 기구가 규제 장벽을 없애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들 단체는 이 요구가 관철되지 않으면 기구에 참여하는 환경단체와 논의해 탈퇴한다는 계획도 신중히 고려하고 있다.

한편 산림관광 상생조정기구는 하동군, 경남도, 하동군민(2명), 민간개발업체인 ㈜삼호, 환경단체(3명), 학계(4명), 국립공원공단, 연구원(5명) 등 총 18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달 25일 첫 회의가 열렸으며 두 번째 회의는 15일 서울 한국관광공사 회의실에서 열린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