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섭으로 성패 경험 공유한 마창진
문화적 일체감 속 하나된 도시 실현해야

마·창·진이 통합 창원 10주년을 맞았다. 마·창·진은 국가 간섭이 많았던 도시들이다.

마산은 일제강점기부터 끊임없이 바다가 매립되었고 1970년대에도 매립하여 수출자유지역이 들어섰다. 창원은 기계공업단지라는 계획도시로 만들어졌고, 진해는 일제강점기 해군 거점으로 시작되어 해군 도시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마·창·진은 국가의 의지대로 통합 창원시가 되었다.

국가 간섭이 많았던 도시는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사람이 몰려들었고 팽창했다. 잔치가 끝나고 도시는 어수선한 후유증을 겪었는데, 그래서 누구는 이것을 시혜라고 하지만 누구는 피해라고 한다.

그러나 도시는 구성원들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국가의 의지대로 바다의 도시 마산은 매립되면서 지금은 그 의미를 찾기 어렵고, 계획도시 창원은 팽창했지만 창원기계공업단지는 구조 고도화에 실패했으며, 진해는 해군사령부가 부산으로 떠났고 교육사단과 해군사관학교만 남았다. 도시는 크게 변하고 있지만 미래를 견인할 마땅한 대안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도 창원은 324㎞ 해안선을 두고 있는 해양도시로서 바닷물은 맑아졌고, 도시에 남겨진 자산으로 민주화와 산업·노동, 그리고 군항·해양이 있다. 그래서 이런 남겨진 문화적 자산을 활성화해서 볼거리·놀거리·먹거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합의 만족도는 얼마나 될까? 일부에서는 여전히 상대적인 박탈감을 호소하고 있고, 한편에서는 여전히 편을 가르고 지분을 요구하는 사람도 있다. 통합 10주년 기념식에서 허성무 시장은 창원비전 2030 '경계 없는 하나의 도시 창원'으로 희망이 플러스되고 더욱 풍성해지는 창원의 미래를 선포했다.

창원시가 문화도시를 추진하면서 5개 구에 기초조사를 할 때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내용이기도 한 '하나의 도시 창원'의 실현은 문화적 일체감이 우선일 것이다. 논리적 타당성이 충분히 검증된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새로운 도시브랜드가 만들어져야 하고,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경제 활성화를 모색하는 문화도시가 만들어져야 한다.

정부는 '문화기본법'과 '지역문화진흥법'을 근거로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자산을 기반으로 문화산업을 통해서 지역사회·경제 활성화를 모색해보라고 한다.

이미 창원시는 지난 2016년 7월 1일 창원 시민의 날을 맞아 '문화예술특별시'를 선포하고 '창원시 문화예술교육지원조례'를 제정했다. 지역문화특화지역조성 사업에도 선정되어 '창원시 문화도시조성 및 지원조례'를 제정하고 창원시문화도시지원센터를 설립하여 그동안 '타운홀미팅', 문화인력 양성을 위한 '창문', '시민문화거버넌스 구축', '청소년 해커톤대회',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찾아가는 예술 배달사업 등 4개 분야 7개 사업 총 17개 세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창원은 제조업 도시이기도 하지만 조각가 문신(마산), 김종영(창원)을 비롯한 박종배(마산), 김영원(창원), 박석원(진해) 등 뛰어난 조각가들을 배출한 도시이다. 또한 조각비엔날레를 개최하고 있는 국내 유일한 도시이기도 하다.

이처럼 산업과 예술의 가치를 융합하여 해양신도시에 문화지구를 선정하고, 국립현대미술관을 유치하고, 창원의 새로운 문화도시 브랜드를 만들어간다면 창원비전 2030 '경계 없는 하나의 도시 창원'의 미래가치는 실현되지 않을까 싶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