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통합 창원시가 출범한 지 10년을 맞았다. '전국 최초의 자율통합 자치단체'로 출범한 통합 창원시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대응에 나서야 할 때다.

졸속 통합이라는 비판을 받기는 했지만 통합 창원시는 기대를 모으며 출범했다. 특히 옛 마산·진해 주민들은 낙후한 지역 경제가 통합을 통해 반전될 것을 기대했다. 실제로 통합 이후 옛 마산의 원도심 개발, 옛 진해의 항만 개발 등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최근 창원시와 창원시정연구원이 주최한 토론회에서 통합 효과로 기대되었던 지방세와 세외수입 증가는 뚜렷하지 않았고, 오히려 재정자립도는 떨어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더욱더 우려스러운 것은 최근 통합 창원시의 경제 지표가 좋지 않다는 것이다.

경남연구원과 창원시정연구원의 발표에 따르면, 창원시 GRDP는 통합 이듬해 2011년은 전년보다 2.9% 상승했지만 2016년은 3.1% 감소했다. 전년 대비 제조업 생산지수는, 2011년 6.4% 상승했지만 2017년 5.2% 감소했으며, 전년 대비 설비투자도 2011년은 24.2% 상승했지만 2016년엔 6.9% 떨어졌다.

도시의 삶을 근간에서 떠받치는 먹고사는 문제가 나아지지 않으면 통합 창원시의 전망은 암울할 수밖에 없다. 경기침체에다 코로나19 여파까지 겹치면서 지역경제가 활로를 찾지 못한다면 통합에 대한 주민 불만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 경제뿐 아니라 각 지역 주민들의 심리적 간극도 적지 않다. 통합 이전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는 지역시민단체들도 있다.

옛 창원은 기계·조선 일변도의 경제구조를 첨단 스마트 산업 체제로 전환하고, 옛 마산·진해는 원도시문화 재생과 해양 산업 발전에 박차를 가하는 등 역할 분담을 통해 공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주력 업종의 경쟁력을 되살리고 주력 산업을 다양화함으로써 지역경제를 살리지 않으면 통합 창원시 발전을 근간에서 떠받칠 수 없다. 지역 간 경제 격차 개선, 교통 등 행정 개편, 주민 간 정서적 이질감 해소에도 할 일이 산적하다. 창원시가 광역시나 특례시 승격에만 집착하여 통합의 내실을 닦는 노력은 소홀히 하지 않았는지 돌아보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