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정책워크숍 개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역 문화예술정책 논의

코로나19가 문화예술계를 바꾸어놓았다. 온라인 공연과 전시가 활발해졌고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문화활동이 축소됐다. 일상의 가치, 작은 것의 가치, 지역의 가치를 재발견했다.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남지역에 필요한 문화예술 정책은 무엇일까.

지난 18일 경남문화예술진흥원 합천 청사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 정책' 워크숍이 열렸다. 신동호 코뮤니타스 대표가 좌장을 맡고 김미정 창원시 문화예술정책관, 김재환 경남도립미술관 학예사, 김창수 경남문화예술회관 공연전시팀장, 김태훈 지역스토리텔링연구소 소장, 배민 전 경남청년센터 센터장, 모형오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정책연구팀 팀장, 남종우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정책연구팀 과장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온라인, 거스를 수 없는 대세 = 코로나19로 오프라인 공연·전시가 '올스톱'되자 문화예술계는 온라인으로 눈을 돌렸다.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져 대면 공연이 열릴 때까지 무작정 손 놓고 기다릴 수 없었다.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문화콘텐츠는 대세가 됐고 경남지역 예술가, 문화예술기관도 온라인 공연·전시를 선보였다.

온라인은 시간·장소 제한 없이 예술가와 관객을 만나게 해줬다. 하지만 대면 공연·전시의 대체재로서 한계도 드러냈다. 오프라인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작품의 아우라, 예술가와 관객이 같은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나누는 교감을 앗아갔다. 또 재정이 열악한 민간단체와 촬영·영상 장비가 열악한 공연장, 콘텐츠 경쟁력이 약한 예술단체의 민낯을 드러내게 했다.

배민 전 경남청년센터 센터장은 "비대면 시대 생산자 간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그는 "지역 예술가들이 온라인에서 전 세계 예술가와 경쟁을 해야 하는 데 자본, 기술력, 경쟁력이 약한 상태에서 그들과 경쟁하기에는 어려운 일이다"며 "지역 예술가들이 다양한 실험을 해 볼 수 있는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종우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정책연구팀 과장은 "온라인 공연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예술에 접목하는 공연이 활성화됨에 따라 온라인 상연을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 제작과 장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현재 온라인 공연, 전시가 중구난방으로 흩어져 있어 사람들이 보기에 불편하다"며 "아카이빙을 위한 플랫폼 제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경남문화예술진흥원 합천 청사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 정책' 워크숍이 열렸다. /김민지 기자
지난 18일 경남문화예술진흥원 합천 청사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 문화예술 정책' 워크숍이 열렸다. /김민지 기자

◇로컬리티, 새로운 기회될까 = 코로나19는 우리 주변을 다시 보게 되는 계기가 됐다. 지역 간 이동이 제한되니 우리가 사는 동네에 더 관심이 생겼다.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 역시 늘었다. 즉 우리가 사는 지역, 동네에서 일하고 생활하고 소비하고 노는 문화가 자연스레 형성된 것이다.

좌장을 맡은 신동호 코뮤니타스 대표가 물음을 던졌다. "코로나19가 로컬리티(locality·지역성)와 지역공동체에게 새로운 기회일까?"

김태훈 지역스토리텔링연구소 소장은 "기회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가 터지니까 지역민들 머릿 속에 '우리 동네', '우리 지역'이라는 개념이 생기고 우리 지역에 대한 관심을 두게 됐다"며 "지역 사회가 우리 지역에 대한 안전함, 자부심을 지역민이 느끼도록 스토리텔링 활동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미정 창원시 문화예술정책관은 "지역 공동체가 활성화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시가 창원시 특산품, 수산물을 드라이브 스루로 판매했는데 동났고 시민들이 동네 마트, 동네 시장에 눈을 돌리고 지역 화폐를 사용하더라"고 말했다.

코로나19로 대형 축제와 관광, 큰 이벤트가 줄줄이 취소됐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활권 내에서 소규모 사람들과 문화를 생산하고 소비하길 바란다. 참석자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예술활동 방식이 변화하면 이에 따른 문화예술정책도 바뀌어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말했다. 공급자 중심, 정부 주도의 톱다운(top-down·하향식) 방식이 아니라 생산자·소비자 중심, 지역에 맞는 문화예술정책이 필요하다.

◇"지역 단위의 문화정책 필요" = 이날 참석자들은 각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예술정책을 내놓았다. 크게 보면 △온라인 공연 활성화 지원 마련 △지역형 예술정책 수립 △시민 참여형 정책 필요 등이다.

김재환 학예사는 "코로나 이후 사람들의 관계는 대규모 밀집 공간에서의 모임을 지양하고 소규모의 느슨한 공간으로 바뀌고 있다"며 "대규모 전시공간을 만들지 말고 각 마을 단위에 설립되는 작은 미술관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창수 경남문화예슬회관 공연전시팀장은 "중앙과 지역은 예술지형, 환경, 인프라 등 모든 부분이 차이가 있지만 여전히 정책은 중앙집중적이다"며 "지역에 대한 개념 정리부터 시작해 정말 지역에 맞는 예술정책은 무엇인지 현실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모형오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정책연구팀 팀장은 "지역 공동체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고 생활권 내 공동체 가치가 두드러지면서 일상, 가족, 동네 이웃을 재발견했다"며 "결국 마을단위에서 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장려하고 지역사회 문제를 공유하고 해결해나가는 예술가, 기획자의 역할을 확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