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회기가 시작됐지만 벌써 다음 총선을 준비하는 이들이 있다. 보수정당이 압승한 창원 지역의 총선 결과에 실망한 이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정치 결사체인 '포도당(GLUCO-PARTY)'이 눈길을 끈다.

포도당은 '기성 정당도 노조도 시민단체도 초월하여, 2024년 22대 총선에서 창원시 민주노동환경인권 세력의 승리라는 단 하나의 목적으로 뭉친 자발적 독립적 시민들의 정치 동아리'를 표방한다. 회비는 1회에 한해 1인 1만 원으로 한정하며 모든 결정은 회의와 투표를 통해 이루어진다. 흡사 정당이라기보다는 협동조합과 비슷한 조직 원칙이다.

포도당 같은 새로운 정치조직의 출현은 기성 정당과 한국 정치가 얼마나 구태의연하고 낡았는지 말해주는 반증이다. 지난 총선에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도입되면서 소수정당에 국회 문턱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더불어민주당과 미래통합당이 차례로 비례 위성정당을 만듦으로써 법의 취지는 무산되고 거꾸로 거대정당의 장악력만 더 커졌다. 21대 국회는 이러한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출범한 셈이다.

지역이 아닌 전국적 차원에서 정치 주인으로서의 시민 참여를 표방한 정당은 한국 정치사에서 이미 시도되기는 했다. 2000년대 초 '개미정당'을 주창한 개혁당이 잠깐 인기를 모았지만 자신들과 정치적 색깔이 비슷한 당에 흡수되면서 정치실험을 끝냈다. 아무리 혁신을 표방한 정당이라고 해도 기반이 부실할 경우 끝내 기성정당의 벽을 넘을 수 없음을 볼 수 있다.

비대면이 확대되는 세상이기는 하지만 포도당처럼 SNS를 근거로 하는 조직이라면 참여자 외연을 넓히는 데도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재정을 확보하는 방안도 숙제다.

새로운 정치조직 앞에 놓인 미래는 가시밭길이지만 가장 큰 난관은 이들의 진입을 반기지 않는 정치 구조이다. 이 점에서 소수정당의 실질적인 국회 진입을 넓힐 수 있도록 선거법과 정치 관련 법을 다시 개정하는 것이 시급한 일이 되었다.

기득권을 누리는 정당들이 소수 정치 세력이 진출할 기회를 마련해 주지는 않을 것이므로 새로운 정치를 열망하는 시민의 힘으로 22대 국회를 추동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