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열린 제23차 산업경쟁력강화 관계 장관 회의에서 채권단은 두산중공업 정상화 방안을 보고했다. 채권단은 두산중공업이 앞으로 원전·석탄발전 사업에서 가스발전과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사업구조를 개편하고, 대주주 유상증자, 주요 계열사 및 비핵심 자산 매각 등 재무구조 개선계획을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채권단은 두산중공업이 이러한 구조 개편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경영 정상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책은행은 두산중공업이 제출한 경영정상화 방안을 토대로 1조 2000억 원을 추가 지원할 예정이다. 국책은행은 지난 3월 1조 원을 긴급 지원했고, 이후 외화 채권 상환용으로 6000억 원, 운영자금 등의 용도로 8000억 원을 지원한 바 있다. 이번을 포함하면 전체 지원 규모는 3조 원대로 늘어나게 된다.

사업 구조 개편은 주력사업이던 석탄 화력발전 부문을 줄이고 원전사업은 유지 보수, 해체 쪽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가스발전과 풍력발전 등을 강화해 전 세계적인 석탄발전 축소 방향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시민단체에서 주장한 석탄발전 사업 정리가 포함되어 다행스럽다. 그러나 가스 발전사업은 친환경 에너지라고 보기 어렵고 이미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평가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태양광과 풍력이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어 그 시기는 조금씩 다르지만 좌초자산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채권단은 두산중공업 경영진이 에너지 시장의 변화를 제대로 읽지 못한 교훈을 기억해야 한다.

두산은 지난 1991년 낙동강 페놀 방류 사건으로 자사 제품 불매운동까지 벌어져 큰 위기를 겪은 바 있다. 이번 두산중의 경영 위기도 반환경 산업인 석탄 발전 사업을 고집하다 일어났다는 시각이 있다. 두산그룹의 경영진은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기업은 존속이 어렵다는 점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또 정부가 두산중공업의 어려움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는 것은 노동자들의 고용 유지를 위한 배려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