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성친화도시'가 화두다. 27일 경남도가 경남연구원에서 '여성친화도시 Why? 여성친화도시 How?'란 주제로 제1회 여성친화도시 포럼을 개최했다. 25일에는 창원시와 창원여성살림공동체가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젠더거버넌스 구축 업무협약'을 맺었다. 같은 날 창원시 성별영향평가위원회도 열려 창원시가 여성친화도시로 선정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을 나눴다.

여성친화도시란 '남녀가 도시의 지역 정책과 발전 과정에 동등하게 참여해 여성의 성장과 안전이 보장되며 모두가 행복한 도시'로 풀이된다. 여성에게 혜택을 더 많이 주자는 게 아니라 성평등한 도시 정책과 환경을 만들자는 것이다. 평등이란 배려가 포함된 단어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1994년 도시 여성을 위한 유럽 선언이 있었고, 1996년 유엔인간정주회의에서 도시 여성의 삶이 조명됐다. 도시 공간이 남성 기준으로 개발되어 여성의 생애 주기나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문제가 제기됐다. 이후 여성의 일상적 삶에 영향을 주는 도시환경, 건설 등 도시 공간에 대한 성별 고려의 필요성도 거론됐다. 국내에선 2006년 김포 신도시개발계획에 성별영향평가가 이루어지고 2008년 행정복합도시 등 신도시 개발에 여성친화도시 조성 이슈가 생기면서 2009년 여성가족부가 처음 지정했다. 현재 전국 92개 도시가 지정되었다. 경남은 양산과 김해뿐이다. 이 지역이 여성과 사회적 약자에 무관심했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이날 포럼에서 김혜정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연구원은 "여성친화도시는 여성의 일상적 경험과 요구를 바탕으로 성평등한 지역 정책을 추진하는 것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변화시키고 여성과 주민의 참여를 통해 주민의 삶에 닿는 정책, 여성과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경남도는 2022년까지 6곳 지정을 목표로 삼았다. 행정기관뿐 아니라 도시민 인식 변화도 절실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