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심상정·홍준표 등 의회 내 차기 경쟁 가속 페달
통합당, 김종인 위원장 '40대 기수론'관철 여부에 주목

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중 여야 통틀어 그 행보가 가장 주목되는 사람은 아마도 이낙연(더불어민주당) 전 국무총리일 것이다.

수치상으로는 적수가 없다.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진행한 차기 대통령 선호도 조사(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이 전 총리는 28%를 얻어 이재명 경기지사(1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3%), 홍준표 전 경남지사(2%) 등을 압도적 격차로 따돌렸다.

그런 이 전 총리에게 21대 국회는 대권을 향한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하느냐, 아니면 당 안팎의 공격과 견제에 대세론이 흔들리느냐가 갈리는 주요한 시험대일 수밖에 없다.

분위기는 심상치 않다. 지난 18일 이 전 총리는 논란 중인 정의기억연대 이사장 출신 윤미향(민주당) 당선인 관련 의혹에 "엄중하게 보고 있다. 당과 깊이 상의하고 있다"고 했으나, 결과적으로 당 지도부는 그의 의견을 '깊이' 받아들이지 않았다. 자체 진상조사는커녕 "신상털기, 옥죄기에 굴복해선 안 된다"(27일 이해찬 당대표)며 사실관계 확인이 먼저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이 전 총리의 당내 입지가 아직 탄탄하지 않음을 방증한다. 이 전 총리는 소위 친문세력 주류와 거리가 있는 데다 호남 출신인 점도 약점으로 꼽히고 있다.

향후 이 전 총리는 강성 친문세력에 구애를 하느냐, 아니면 중도층까지 포괄하는 통합적 행보를 하느냐 사이에서 끊임없이 선택을 강요받게 될 것이다. 윤미향 당선인 건은 예고편에 불과하다. 민주당 주류가 띄우고 있는 한명숙 전 총리 불법 정치자금 수수사건 재조사를 비롯해, 미래통합당이 국회 안팎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2018년 울산시장선거 청와대 개입 의혹과 드루킹 사건(민주당원 인터넷 여론조작 사건) 재판 등 곳곳이 지뢰밭과 다름없다.

이낙연 전 총리 대권가도에 또 하나 주목되는 변수는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거론한 '40대 경제전문가 대선후보론'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지난 대선에 출마한 사람들 시효는 끝났다고 본다"며 "가급적이면 1970년대생 가운데 경제에 대해 철저하게 공부한 사람이 (다음 대선) 후보로 나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해 관심을 모았다.

명시적이진 않았지만, 이는 올해로 68세의 고령에 경제전문가와 거리가 먼 이 전 총리를 겨냥한 발언으로도 해석됐다. 코로나19 사태로 민생·경제위기가 심화하는 한편, 낡은 체제를 바꿀 대안으로 세대교체론이 꾸준히 부각되는 현실에서 40대 경제전문가 카드는 이 전 총리를 위협하는 나름 강력한 승부수가 될 수 있다.

다만 김종인 위원장의 구상은 보수진영 일부 대선주자의 거센 저항을 불렀다. 지난 총선에서 컷오프 결과에 반발해 통합당을 탈당한 홍준표(무소속) 당선인이 대표적이다. 그는 김 위원장의 과거 뇌물수수 사건까지 꺼내 들며 김종인 비대위를 무산시키려 했다. 홍 당선인뿐 아니라 2017년 대선에 출마한 유승민 의원과 황교안 전 대표,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산천·함양·거창·합천) 당선인 등 보수 잠룡 모두가 달가울 리 없었다.

27일 김종인 비대위가 공식 출범함에 따라, 이들 잠룡의 보수진영 내 입지나 향후 대권주자로서 전망은 더욱 불안해졌다고 볼 수밖에 없다. 통합당에 서둘러 복귀해 당내 기반을 다지거나 국회의원으로서 눈에 띄는 의정활동을 해 국민적 지지를 얻는 방법이 있겠으나 어느 것도 쉽지 않아 보인다.

국회 의석 6석으로 현상유지에 그치긴 했지만 '제3당'인 정의당의 움직임도 앞으로 정국에 간단치 않은 변수일 수 있다. 지난 총선에서 정의당이 전국적으로 획득한 269만 7956표(9.67%)는 6석 이상의 존재감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2020년 대선 때 캐스팅보트까지도 노려볼 수 있는 수치다.

그런 점에서 최근 정의당이 윤미향 당선인 논란과 관련해 "이미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졌고 본인 해명이 신뢰를 잃었다"(심상정 정의당 대표)며 민주당에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한 것은 '20대 국회와 다른' 정의당의 행보를 예감케 하는 신호였다.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 등에서 당 안팎의 비판을 무릅쓰고 정부·여당 편에 선 정의당이었지만, 민주당으로부터 돌아온 건 위성정당(더불어시민당)을 통한 새 선거제도 농락과 비례 의석 독식뿐이었다.〈끝〉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