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위안부-정신대 용어 구분 불명확…이후 단체명 굳어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윤미향 국회의원 당선인 관련 논란의 와중에 25일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정신대 피해자 지원 단체인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 나와 같은 위안부 피해자들을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정대협은 1990년 출범 때부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해온 위안부 문제 전문 NGO(비정부기구)로 자리매김해왔다. 현재는 '정의기억연대'라는 새 간판 아래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주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을 해온 단체인데, 단체 이름에 위안부가 아닌 정신대가 포함된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장기간 연구해온 윤명숙 박사는 2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가 먼저 알려졌고, 1970년대 한국에서 처음 소개됐을 당시부터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 1998년 윤정옥(오른쪽 둘째) 당시 공동대표를 비롯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들이 서울 충정로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1998년 윤정옥(오른쪽 둘째) 당시 공동대표를 비롯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들이 서울 충정로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 박사는 "1977년 '의병문제연구소'가 발간한 〈민족의 함성〉이라는 제목의 책에 일본 언론인이 쓴 위안부 관련 서적을 요약해서 번역한 내용이 '여자정신대의 기록'이라는 제목의 챕터로 들어가 있다"며 "여기서 보듯 한국에 위안부 문제가 처음 소개됐을 때부터 '정신대'라는 명칭이 사용됐다"고 말했다. 정대협, 정신대문제연구소 등의 단체들이 실제로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면서도 이름에 '정신대'를 넣은 데는 이와 같은 배경이 있다. 윤 박사는 "1990년대 들어서 근로 정신대와 위안부는 별개라는 것이 조금 알려지면서 정대협이라는 명칭에 대해 지적이 있었지만 쉽게 수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정대협도 당시 위안부 문제가 이렇게 장기화할 것으로 생각을 못해서 서둘러 이름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을 못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이용수 할머니의 지적은 오랜기간 국내 학계 및 시민사회에서 위안부와 정신대의 개념 구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개념 구분이 된 이후로도 단체(정대협) 명칭을 바꾸지 않은 점 등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정대협이 정신대 문제 관련 단체임에도 위안부를 이용했다"는 이 할머니의 지적은 맥락상 정확지 않다는 평가도 가능하다. 정대협 명칭에 '정신대'라는 단어가 있긴 했지만 그것은 출범 당시 위안부와 정신대의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탓이며, 정대협은 출범 당시부터 시종 위안부 문제를 주로 다뤄왔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