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이 창립 50주년을 맞이했다. 많은 지방은행이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 과정에서 사라진 것을 생각하면 축하할 일이다. 지방은행의 강점은 지역 기업과 밀착하여 재무제표에 없는 기업의 정성적 정보를 획득하여 대출심사에 반영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또 지역은행에 대한 지역민들의 높은 충성도도 지방은행의 강점이다.

최근 지방은행들이 고전하고 있다. BNK금융의 올 1분기 순이익은 1485억 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385억 원(20.6%) 감소했다. 경남은행은 474억 원으로 동기간보다 151억 원(24.2%) 감소했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초저금리 기조로 변동금리 적용이 많은 중소기업 대출의 이자 수입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경남은행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82%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0.21%포인트 하락했다. BNK금융의 주가는 경남은행 인수 직후인 2014년 9월 1만 7155원에서 현재 4680원으로 떨어졌다. 물론 경남의 조선·기계 등 제조업 업황이 나빠진 탓도 크겠지만 대응능력 부족도 부정할 수 없다.

경남은행의 안정적 경영을 위해서는 최우선적으로 대출심사능력과 대출금 회수리스크 관리 능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지난해 9월 정부는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금융 패러다임을 '가계금융·부동산담보' 중심에서 '미래성장성·자본시장' 중심으로 전환, 혁신성장을 이끄는 금융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했다. 금융권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잘 대응해야 한다. 비이자수익을 올리려 파생상품 불완전 판매에 나서는 일도 없어야 할 것이다. 정부도 지방은행 지원을 통한 균형발전 촉진에 나서야 한다. 지난해 시작한 지역재투자제도를 내실 있게 해야 한다. 지역개발금융펀드를 정부 주도로 조성하고, 지역사회 기여도가 높은 금융기관에 인센티브를 주는 일이다.

한편 BNK금융 임원들이 주가시세 조작, 부정 채용 등의 혐의로 형사처벌을 받는 일이 있었다. 지방은행은 규정상 대주주가 15% 이상의 지분을 가지지 못하므로, 일종의 과점주주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사외이사에 고객기업 대표, 노동자 대표가 참여하여 임원들의 도덕적 해이를 막는 지배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