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산구 단일화 무산…두산중 경영위기 해법 제각각 승부
기초·광역단체장 민주당 소속 '원팀 강조'도 기대 못미쳐

4·15 제21대 총선에서 창원시 5개 선거구는 모두 미래통합당 당선인을 배출했다. 현 허성무 시장이 더불어민주당 출신인 데다 시의회에도 민주당 20명·정의당 2명·무소속 1명 대 통합당 21명 구도로 범여권이 과반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기존에 유일했던 창원 성산 의석마저도 통합당에 내주면서 범여권의 참패로 기록됐다.

창원 성산에서는 단일화 무산으로 범여권이 분열 양상을 보였다. 이 지역구 쟁점으로 부각한 두산중공업 경영 위기와 관련해 정당마다 제시한 해법은 설득력을 얻지 못했거나 이슈화에 실패한 것으로 풀이된다.

◇2~3석 기대했던 범여권 = 창원 5개 선거구를 기준으로 최근 두 차례 공직선거에서 민주당은 자유한국당(현 통합당)보다 앞섰다. 2018년 도지사 선거 당시 민주당 김경수 후보는 한국당 김태호 후보를 마산합포(45.40% 대 50.14%)를 제외하고는 성산(61.30% 대 33.84%), 의창(54.66% 대 40.62%), 진해(54.49% 대 40.76%), 마산회원(49.03% 대 46.67%)에서 모두 이겼다.

2017년 대선 당시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성산(41.74% 대 27.54%)·의창(37.22% 대 34.85%)·진해(36.11% 대 35.06%)에서 이겼고, 마산합포(29.99% 대 45.91%)와 마산회원(33.07% 대 41.39%)에서는 졌다.

이 결과대로라면 민주당은 창원에서 2~3석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이번 총선 내내 민주당 후보들이 허성무 시장-김경수 지사-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지역구 발전을 해내겠다고 강조한 배경이다.

창원 5개 선거구에서 범여권과 통합당의 승패는 5만~7만 표 사이에서 갈렸다. 이번 총선에서 통합당은 33만 1787표를 얻었다. 반면 민주당(20만 9552표)과 정의당(4만 5567표)을 합치면 25만 5119표로 7만 6668표 차이가 났다. 비례대표 선거 결과를 보면 창원시에서 통합당 위성 정당인 미래한국당은 26만 7454표를 얻었다. 반면 민주당 위성 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은 14만 1719표에 그쳤다. 범여권인 열린민주당(2만 2954표)과 정의당(6만 4298표)을 합치면 총 22만 8971표이지만, 한국당보다 적었다.

2018년 도지사 선거에서 민주당은 29만 6422표를 얻어 한국당(현 통합당·23만 3048표)보다 6만 3374표 앞섰다. 2016년 총선에서는 새누리당(현 통합당·25만 5532표)이 창원 성산에서 단일화를 이뤄냈던 민주당과 정의당(19만 9267표)보다 5만 6256표가 많았다.

◇'탈원전 폐기'가 대세? = 창원지역 통합당 당선인 5명 모두 두산중공업 위기와 정부 탈원전 정책을 연관지어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요구하겠다고 했다. 성산 강기윤 당선인은 16일 당선 인사에서도 "무리한 탈원전 정책을 중단시키겠다"며 국회 특별위원회 구성도 약속했다. 하지만 특위 구성 결의안 본회의 통과까지는 거대 여당인 민주당 설득이 필요해 험로가 예상된다.

또 성산 선거 결과를 보면 '탈원전 폐기'를 내건 정당과 후보자를 다수 유권자가 지지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성산에서 통합당 강기윤(47.30%) 후보가 당선했지만, 정의당 여영국(34.89%)·민주당 이흥석(15.82%) 후보가 단일화했으면 단순 합산 득표율이 50.71%로 승리를 장담할 수 없었다. 4년 전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강기윤(40.21%)-국민의당 이재환(8.27%) 후보 합산 득표율이 정의당 노회찬(51.5%) 후보에 미치지 못했는데, 보수-진보진영 득표율 편차는 3%p대로 큰 변동이 없었다.

통합당 '탈원전 폐기' 공약에 맞서 민주당 후보들은 탈원전 점진적 추진·가스터빈산업 육성·원전기업 피해 보상·에너지전환특별법 등을 제시했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