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말 들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줄어들면서 사태가 진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럼에도 소규모 집단감염 우려가 여전히 존재하다보니 지난달 31일 교육부는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이라는 새로운 해법을 발표하였다.

학교라는 시설에서 감염을 걱정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교육부의 발표에 대부분 수긍을 하고 있다. 하지만 대입과 고입이라는 입시를 눈앞에 둔 자녀들의 학부모들은 원격수업으로 교육의 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의문도 제기한다. 교육청과 일선 학교에선 원격수업 진행에서 다문화가정과 빈곤가정 자녀들이 받게 될지 모를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역시 모색하고 있다. 물론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하는 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은 몰입도와 관심도가 낮을 수밖에 없어 보인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교육부는 개학 일정을 막연히 연기하기가 어려운 게 현실이다. 대중의무교육제도와 관련된 법정 교육일수의 준수를 비롯하여 입시와 관련된 학사 일정을 지켜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코로나19의 확산 정도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나는 현실은 입시에도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교육제도는 기회의 균등성과 형평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가치관이 엄격한 한국의 현실에서 전염병 때문에 지역적 차별이 발생하는 걸 용인하기가 어렵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교육부는 학부모의 희망과 기대를 일정 정도 수용하면서 학사일정을 운용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보인다. 유치원 교육은 개학을 사실상 무기 연기하지만, 초·중·고는 학년과 사정에 따라 온라인 개학을 단계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한다.

온라인 개학이 세계에서 아무도 해보지 않은 미지의 실험이라는 사실 때문에 평가절하 받을 필요는 없다. 우리가 지닌 인터넷 인프라의 강점을 백분 활용하면서 잠재적 능력을 더욱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비록 전염병이 창궐하면서 다급하게 내놓은 임기응변식이긴 하더라도 어쩌면 미래사회에 존재할 수 있는 교육모델 중의 하나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교육이 입시의 도구가 아니라 계몽의 수단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원격수업이 학생의 자발성을 고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