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긴급 재난지원을 위해 예산편성을 서두르고 있는 가운데 경남도 역시 1차 추경안 심의에 들어갔다.

전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의 적극적 진단과 방역 및 격리치료,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으로 소규모 지역사회 감염이나 국외 유입을 제외하고는 코로나19 확산의 고삐가 어느 정도 잡히는 중이다. 그렇다고 방심은 절대 금물이다. 워낙 전염력이 강력하니 완전히 박멸할 때까지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

한편으로 경제사회적 병세는 더 깊어가고 있다. 생산과 소비는 물론 모든 일상활동이 마비되다 보니 그렇지 않아도 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을 중심으로 코로나 경제 위기란 질병이 빠르고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대유행이 점점 더 확산하고 있고 장기화할 것이 분명하니 경제사회적인 재난의 수렁에서 빠져나올 길은 어두운 터널처럼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경제적으로 보면 소상공인이나, 영세사업자, 청년, 여성, 사회적 약자층은 이미 고위험 상태에 놓여 있다. 하루가 급박한 위험을 넘기기 위해 산소호흡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져야 할 일도 많고 뒷날도 걱정해야 하지만 신중하기보다 응급 처방부터 내려야 한다.

긴급 처방은 말 그대로 신속하고 과감하게, 그리고 투약이 필요한 부위에 족집게처럼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총선을 코앞에 둔 시점이라 부질없는 논쟁에 휘말리기 십상이지만 국가 경제적 재난 앞에서는 일치단결하는 협력 정신을 발휘할 줄 알아야 한다.

중앙·지방정부 모두 긴급 처방과 아울러 근본 대책을 준비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긴급 지원만으로는 그 효과와 후유증 예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재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 데 원천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게 중론이다. 응급 처치로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도 모르고, 더 강한 처방이 필요할 수 있다.

결국은 생명과 인류애, 포용과 공동체라는 공적 가치를 최우선시하는 경제·행정 시스템으로의 전환과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혁신과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끔찍한 전염병을 극복한 뒤에는 거대한 문명의 전환이 뒤따랐던 교훈을 상기할 때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