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두산중공업은 지나치게 많은 금융 비용과 대손상각비로 인해 1043억 원에 이르는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기업 재정이 악화하면서 경영진은 구조조정으로 위기를 넘기려 하지만, 이에 대해 노조와 지역 정계는 거부감과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의 사정이 나빠지면서 조선업처럼 몰락으로 나아가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존재한다. 하지만 두산중공업이 나빠졌다고 창원 지역경제가 무너질 것처럼 말하는 건 지나친 과장이다. 울산의 현대중공업이나 현대자동차는 지역 제조업체들을 수직계열화한 정점의 원청 기업이 분명하지만, 창원의 두산중공업 위치는 전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창원 지역경제에서 비중을 좀 차지한다는 이유 하나로 창원의 대표기업이라고 말하긴 어렵다. 오히려 두산중공업의 경영 위기를 이유로 선거를 앞두고 지역 정치계에서 논의하는 해법의 적절성과 타당성부터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두산중공업은 경영 위기 이유를 오로지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돌리곤 한다. 이런 맥락에서 한편에서는 '탈원전 피해보전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탈원전 정책은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 이런 현실을 무시하고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재개해 달라고 주장하는 건 사회적 설득력을 얻기 어렵다.

반면 또다른 편에서는 국가 에너지정책 전환으로 민간 기업이 피해를 보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에너지전환특별법' 제정을 주장하고 있다. 국가 에너지정책으로 인해 민간 기업이 입은 피해를 조금이라도 보상하는 건 분명 검토해볼 만하다. 하지만 당사자들의 의중은 물어보지도 않은 채 민간 기업인 두산중공업을 공기업화하라고 요구하는 건 너무 나선 행동으로 보인다.

두산중공업은 최근 10년간 1조 2500억 원의 적자를 내면서도 6000억 원 넘게 배당했으며, 이 중에서 약 3분의 1은 지주사인 ㈜두산에 배당했다. 에너지 산업의 세계적 흐름을 읽지 못하면서 배당 잔치에 몰두해 온 경영진의 무능부터 따져보는 게 순리이다. 그래야 수소·풍력과 같은 대체 에너지원의 개발이나 가스터빈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을 이야기해 볼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