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전략공천' 진통을 겪는 양산
되레 지역·주민 소외되는 사태 반복

돌이켜보면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21대 총선을 앞둔 양산지역은 또다시 '전략공천'을 둘러싼 진통을 겪고 있다. 선거 때마다 반복하는 논란이지만 쉽게 익숙해지지 않는 것 역시 여전하다.

2004년 제17대 총선 당시 한나라당은 부산에 공천을 신청했던 김양수 후보를 양산에 전략공천했다. '지역 출신'으로 3선 의원이었던 나오연 후보는 무소속 출마를 감행했지만 선거운동 시작을 일주일 남기고 공천을 받은 김 후보가 당선됐다.

2008년 18대 총선에서는 김양수 후보가 희생양이 됐다. 자신과 마찬가지로 부산에 공천을 신청했던 허범도 후보를 한나라당이 전략공천하면서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허 후보는 당선의 기쁨도 잠시 선거법 위반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2009년 10월 재선거를 치르게 됐다.

한나라당은 '셀프공천'이라는 비난 속에도 지역 연고가 없는 박희태 후보를 또다시 내세웠다. 이때마다 전략공천 명분은 '힘 있는 여당 국회의원', '큰 일꾼'이었다. 지역 발전을 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 지역 후보보다 전문성과 경륜을 갖춘 힘 있는 후보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지역사회 반발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략공천이 이뤄질 때마다 '지역 연고'를 앞세운 지역 후보는 '양산 선거에 양산은 없다'는 말로 소지역주의를 부추겼다. 그것도 잠시. 하나둘 백기 투항 깃발을 들더니 어느새 '대세론' 아래 모였다.

21대 총선은 여야 처지가 달라졌다. '말뚝만 꽂아도 당선된다'는 보수 텃밭이 신도시 조성으로 젊은 30·40대 유권자가 늘어나면서 정치지형 자체가 크게 변했다. '낙동강 벨트'라 일컫는 양산은 이제 미래통합당이 '험지'로 부르고 있다. 그래서일까? 과거 여당이었던 보수 정당 전매특허였던 전략공천을 이제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에서 이어받았다. 통합당 역시 질세라 대선주자급 후보가 양산 출마를 선언하며 혼란을 이어가고 있다.

인구 다수가 유입된 양산에서 반드시 지역 후보가 절대 선인 양 말하는 것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지역'이라는 가치 외에도 주민이 원하는 정치 지도자 덕목은 셀 수 없이 많다.

그럼에도, 선거마다 반복하는 전략공천에 피로가 쌓이는 이유는 '지역 발전'을 외치며 나선 후보가 '당선'이라는 과실만 챙기고 떠나는 모습을 봐왔기 때문이다. 공천 논란이 커질수록 선거는 정치적 공방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정책 경쟁이 사라지고 오히려 지역과 주민이 소외 당하는 상황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급격한 성장을 거듭한 양산지역은 성장통도 만만치 않은 곳이다. 스스로 선택한 새로운 삶의 터전이 더 나은 곳으로 변하길 바라는 마음은 고스란히 이번 선거에 반영될 것이다. 반복하는 전략공천 논란에서 이제 벗어나 '양산 없는 양산 선거'라는 말을 더는 듣지 않는 마지막 선거가 되길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