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9 청각장애인 문자 이용시간 제한·수어 상담도 미비
이주노동자 위한 외국어 정보 전달도 민간단체에 의존

코로나19 위기경보가 최고 수준인 '심각' 단계에 이르렀지만 취약계층은 이와 관련한 정보 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시·청각 장애인은 1339 콜센터 이용이 가능하다. 시각장애인은 24시간 전화 상담이 가능하다. 청각장애인은 콜센터와 카카오톡을 통해 문자를 주고받을 수 있다. 다만, 청각장애인은 이용 시간이 정해져 있어 24시간 대응하는 1339 콜센터보다 대응력이 떨어진다.

청각장애인은 월∼금요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만 상담할 수 있다. 토·일요일과 평일 오후 6시 이후에는 상담할 수 없다. 또 상담사가 의사소통조력인, 전문보조인 등 장애인 전문 지원 인력이 아니다 보니 소통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1일 가벼운 감기 증상을 가진 환자는 의사 판단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네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전화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한시적으로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동네 병의원은 물론 질병관리본부나 지역보건소가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통화나 수어통역을 갖출 수 있는 여력이 없는 상태다. 수어를 사용한 감염병 정보 제공과 상담 서비스도 이뤄지지 않는다.

황현녀 경남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은 "위기상황이 발생할수록 장애인은 더 취약한 상황에 놓인다. 지역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인권센터 등에서 중증장애인을 비롯한 장애인들에게 개별 연락을 취하고 있다"며 "코로나19 확산세가 진정되고, 확진자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논의를 경남도 또는 창원시와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민희 창원시 재난종합상황실 주무관은 "수화통역영상 안내 등은 현재 이뤄지고 있지 않지만 검토를 통해 청각장애인들이 더 정확히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양한 국가에서 온 이주노동자도 정보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 확진자 발생 여부와 이동 경로 등 긴급한 정보가 계속해서 제공되고 있지만 한국어를 잘 알지 못하는 이주노동자들의 한숨은 깊어만 간다.

이철승 경남이주민센터 소장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 중 90%는 한국어를 잘 알지 못해 이 같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 소장은 "이주민센터에서 13개 국가 언어로 이주노동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내고는 있지만 한계가 있다. 다만 경남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이주민들에게 한국어로만 문자 메시지 등을 전달하는 것을 질타할 문제는 아니다"면서 "다양한 나라 말로 정보를 제공하는 게 쉬운 문제가 아니라는 것은 직접 하고 있어 잘 알고 있다. 다만 행정에서 챙기지 못하는 일을 민간단체에서 하는 만큼 경남도를 비롯한 시·군에서 지원을 해주길 부탁한다"라고 말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