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경제혁신추진위는 지난 17일 회의를 열고 '청년·교육인재·동남권 메가시티'와 같은 3대 핵심과제를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로 했다. 경제혁신추진위의 이런 태도 변화는 나름대로 의미를 두고 있다.

먼저 김경수 도정이 뭔가 좋은 말은 많이 하고 있지만, 정작 변화는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시중의 비판에 주목하면서 변화를 모색해보자는 의지로 볼 수 있다. 물론 경제혁신추진위가 이렇게 태도를 바꾼다고 해서 불투명한 미래가 투명하게 보일 리는 없다. 오히려 경제혁신 방향성이 아니라 내용이 문제의 핵심이라는 지적에 귀 기울여야 한다. 더 이상 20세기형 산업주의 모델로는 현재 경제 상황을 변화시킬 수 없다. 정부가 아무리 민간기업에 재정지원을 한다고 하더라도 국민경제에서 일자리나 소득이 나아지지 않으며, 민간기업 실적이 호전될수록 시장에선 양극화로 치닫는 경향성이 강화된다.

또한 노동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하는 청년층의 평균 학력이 이미 대졸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중소기업 현장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청구는 쓸데없는 하소연에 불과하다. 청년 인력을 제조업이나 중소기업에서 흡수하려면 노동력 상태에 걸맞은 일자리가 제공되어야 한다. 청년층의 취업 문제는 단순히 험하고 힘든 일을 기피하는 청년세대의 도덕성 결여 때문이 결코 아니다. 오히려 1980년대 초반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들은 정보기술의 변화에 적극적이고 능통한 세대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흔히 말하는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통한 제조업·신산업 혁신을 가능하게 하려면, 청년층이 경제생태계에서 창업을 활성화하면서 로컬 크리에이터로 육성되도록 해야 한다.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상품으로 접목하는 실험적 활동에 대한 재정적 지원은 관청만 아니라 민간기업들도 해야 한다. 경제주체들의 필요성에 따라 해 볼 수 있는 온갖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신산업 육성이 가능할 수 있다. 정부가 나서서 교통 정리하는 게 필요하겠지만, 경제적 생존을 걱정할 만큼 환경변화가 조만간 닥칠 거라는 사실도 이젠 인정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