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제진흥원 설립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 구매 촉진 △특화거리 지정·지원 조례, 이렇게 경제 관련 조례 3건이 한꺼번에 제정될 예정이다. 조례가 제정되면 경제 활성화 정책 집행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조례가 제정되어도 경제 활성화 정책의 내용과 방식이 개선되지 않으면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첫째, 지역 산업위기를 극복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산업 혁신능력 향상이 중요하다. 또한 그 혁신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에서 우수한 연구 인력을 지속해서 확보해야 한다. 조선업 해양플랜트 건조에서는 우수한 설계능력이 중요한데 거제 조선사들에서 이 부분을 맡은 엔지니어들은 주로 수도권 대학 출신이다. 지난 2008년 이후 해양플랜트 건조에 차질이 빚어지자 이들이 거제를 떠난 것이 조선사 경영 위기를 가속했다. 2012년부터 시행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K)의 효과를 평가해보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강한 수도권 소재 대학에서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 실적이 높고 학생 취업률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대학의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근본적 개선책이 필요한 것이다. 소재 부품 국산화를 촉진하기 위해 재료연구소가 연구원으로 승격해도 경남·부산지역 대학 출신의 우수한 연구인력을 확보해야 혁신연구역량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 대구·경북에서는 대구기계부품연구원(DMI) 등 지역 주요 연구기관들이 석·박사급 인력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도권 취업 선호 추세와 지역 대학원생 감소 때문이다. 일본처럼 대기업이나 우량 중견기업들이 장기간 지역 대학 연구실과 호흡을 맞추며 선도기술에 투자하도록 하여, 신기술도 개발하고 우수 연구인력도 양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제활성화정책 결정에 노사 등 민간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할 필요가 있다. 현실에 맞는 정책을 펴기 위해서다. 중앙정부의 재정 지원에만 매달릴 것이 아니라 지역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상황과 경제주체 요구에 맞는 경제활성화정책을 위해 '경제 활성화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내실 있게 운영해야 할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