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살아가는 가족, 반려동물
동물등록 의무 규정 실천해야

저출산 및 고령화와 1인 가구 급증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 등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제 반려동물은 가족과 같은 존재로 대우받고 있으며 국민은 반려동물을 통해 더욱 나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전에는 장난감 뜻이 있는 '애완동물'이라는 단어를 썼지만 오늘날에는 함께 살아가는, 더불어 사는 동물이라는 의미의 '반려동물'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또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을 소위 반려인 또는 펫팸족(pet+family族)이라 부른다. 반려동물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도 점차 발전한 것이다. 나 또한 유기동물보호소에서 입양한 사랑스러운 나눔이를 키우는 어엿한 반려인이자 펫팸족으로 내 삶의 일상을 반려동물과 공유하고 있다.

가축에서 애완, 애완에서 반려로 진화하기까지는 노벨상 수상자이자 동물행동학자인 콘라드 로렌츠의 제안이 한몫했다.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를 주제로 한 심포지엄에서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자는 취지로 반려동물(Companion animal)이라 칭하자는 제안이 지금은 전 세계가 동참하는 트렌드가 됐다. 이제는 펫비어(pet beer), 펫자(pet pizza)를 식탁에 올려놓고 인간과 겸상도 한다.

경남도의회에서 발간한 <정책프리즘>에 따르면, 반려동물 가구 비율은 2010년도 17.4%에서 2018년도에는 23.7%까지 증가해 약 2100만 가구 중에 511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8년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 따르면, 가구당 양육 중인 반려동물 수는 경남이 2.4마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강원 2마리, 인천 1.6마리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반려동물의 꾸준한 증가 이면에는 유기동물 증가라는 불편한 진실이 숨어 있다. 반려동물을 무책임하게 버리거나 잃어버리는 일도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매년 유기동물 구조·보호에 따른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들고 있는데 아쉽게도 경남은 경기도 다음으로 유기동물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유실동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근 동물등록을 의무화하고 과태료를 강화한 점은 매우 잘한 일이다. 그렇지만, 단속과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동물등록을 반려인이 의무사항으로 느끼고 있지 않고, 등록방식을 내장형이 아닌 탈부착 가능 외장형으로 등록한 즉, 무늬만 등록된 비율이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제도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등록 인식표를 탈착한 상태로 반려동물을 유기·유실한다면 보호소에 구조되더라도 주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없어 등록하나 마나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정책프리즘>에서는 동물등록 자진신고 기간 운영과 홍보를 강화하고 현행 동물등록 방법을 내장형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내장형으로 일원화하는 방안이 어려우면 현행 등록방식을 유지하되 내장형 방식의 동물등록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내장형 등록비용을 지원해주는 방안도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이번 주말에 내 반려동물의 주민등록증을 만들어 주러 가는 건 어떨까? 반려동물과 행복한 공존,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진정한 반려(伴侶)의 의미를 되새겨 볼 때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