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장 "미래 먹거리 될 것"
9차 전력수급계획 반영 등 요구
두산중 재도약 경제 부흥 기대

허성무 창원시장이 16일 두산중공업이 자체 개발한 대형 가스터빈의 조기 안정성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주장하고 나섰다.

이는 올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회복'을 약속한 창원시가 지역내총생산액의 15%, 수출액의 20.5% 등 지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두산중공업의 재도약을 통해 창원 경제를 부흥시키겠다는 복안으로 풀이된다.

허 시장의 정책 방향 제시는 명료했다. 가스터빈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해법으로 허 시장은 '9차 전력수급계획' 수립 시 10GW 이상 국산 가스터빈 공급 계획 반영과 가스터빈 수주에 참여한 발전사와 기업에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제공, 발전용 가스터빈 산업 육성을 위한 클러스터 조성 등을 전면에 내세웠다.

허 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 이후 두산중공업과 관련 협력업체의 심각한 경영 위기로 창원시 전체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면서 "두산중공업이 2013년부터 1조 원을 투입해 세계 5번째로 독자 개발한 발전용 가스터빈 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허성무 창원시장이 16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에너지 산업 미래 신성장 발전을 위한 발전용 대형 국산 가스터빈 산업 육성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 허성무 창원시장이 16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에너지 산업 미래 신성장 발전을 위한 발전용 대형 국산 가스터빈 산업 육성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sajin@

실제로 그동안 석탄화력과 원전 설비 제작에 주력해 온 두산중공업은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 이후 매출이 급감해 앞으로 10년간 7조 원가량의 매출 손실이 우려되고 있다.

이날 허 시장의 외침은 단순히 두산중공업을 살려달라는 것이 아니라 가스터빈 산업을 미래 먹을거리로 육성할 필요성을 강조해 설득력을 더했다. 세계 가스발전 시장은 2018년 1757GW에서 10년 뒤인 2028년에는 2189GW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앞으로 10년간 신규 20GW(가스터빈 40기) 및 서비스에 약 15조 원 규모 시장을 예상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허 시장은 "그동안 발전용 가스터빈은 전량 해외 수입에 의존해 12조 원에 달하는 막대한 국부가 유출되고, 국내 에너지 안보를 일본과 미국 등 외국에 맡기고 있었다"면서 "정부 차원의 지원만 뒷받침되면 대형 가스터빈 산업은 대·중소기업의 동반성장은 물론, 연간 3만 명 이상의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하는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산중공업이 지난해 자체 개발한 S1 모델(발전효율 60%)은 미국, 일본 등 경쟁국과 비교하면 3년 정도 기술격차가 난다.

하지만, 선제 기술 개발과 대규모 실증만 뒷받침된다면 2027년에는 국외 제작사와 기술격차를 완전히 없애고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해부터 허성무 시장이 직접 정부와 정치권을 찾아 국산 가스터빈 산업 육성 필요성을 알리고 지원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시 자체적으로 3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진해구 연구자유지역 내 차세대에너지 소재부품 육성산업을 키우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발전용 가스터빈이란 = 발전용 가스터빈은 1500도 이상 고온에서 견디는 초내열 합금 소재 기술, 복잡한 형상의 부품을 구현하는 정밀 주조기술, 배출가스를 최소화하는 연소기 기술, 핵심 부품을 조합하는 시스템 통합기술 등 고난도 기술력을 요구하는 복합체다. 두산중공업은 총 1조 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출력 270㎿, 복합발전효율 60% 이상의 대용량 가스터빈을 개발했다. 미국, 독일, 일본, 이탈리아에 이어 두산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개발에 성공하면서 우리나라는 5번째로 독자모델 보유국 반열에 올라섰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