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노인·아동 맞춤 설계
자동차 수요 관리 정책 동반

오는 2023년 창원시에서 개통할 최고급형 간선급행버스체계(Super-Bus Rapid Transit·이하 S-BRT)는 장애인·노인·여성·아동 등 경제적·신체적 교통약자를 위해 설계돼야 한다.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자체가 대중교통 활성화를 목적으로 탄생했기 때문이다.

◇산적한 숙제 = 이미 BRT를 도입한 도시에서 만족도나 기대치는 높게 나타나는 편이다.

지난달 30일 발표된 '2019 세종시 사회조사'(만 13세 이상 가구원 3343명 대상) 결과를 보면 BRT 버스 만족도는 59.6%로 일반 시내버스(39.5%)보다 높았다. 2018년 부산시는 BRT 구간 공사 재개를 두고 시민 공론화를 진행했다.

애초 시민참여단은 공사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숙의와 토론을 거치고 나서는 공사 재개 의견이 많아졌다.

이달 초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S-BRT 표준가이드라인을 보면 기존 BRT보다 요건이 까다롭다. BRT는 교차로에서 멈춤이 있지만, S-BRT는 입체화한 교차로나 우선 신호로 이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 정류장 형태는 교통섬인데, 승객 안전을 고려한 폐쇄형 또는 반개방형으로 지어져야 한다. 또한 많은 승객이 탈 수 있도록 출입문 3개 이상 대용량 버스(양문형 버스, 굴절·2층 버스)가 투입되며, 전기 또는 수소 차량이어야 한다.

승하차 지점 간 거리는 60~120m 이내로 환승 체계가 구축되고, 지하철처럼 사전 요금 지급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심지어 주행로·정류장·차량 디자인을 통일한 S-BRT 브랜드도 만들어야 한다. 그만큼 창원시가 준비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5월 밑그림은? = 시는 BRT 전체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지난해 6월 시작한 'BRT 기본구상과 개발계획 수립' 용역은 오는 5월 마무리된다. 이후 BRT 구축사업 기본·실시설계는 내년 12월까지 수립된다.

특히 보행자 중심으로 버스와 관련한 모든 시설을 개선한다. 현재 교차로와 횡단보도는 차량 중심으로 설계돼 있기 때문이다. 기술 검토를 거쳐 도로 구조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마련 중이다. 버스 노선도 전면 개편하며, 버스 준공영제 도입도 함께 추진된다.

시 안전건설교통국 제종남 신교통추진단장은 S-BRT를 둘러싼 우려에 관해 "시민 의견을 계속 듣고, 경찰 교통안전 심의 절차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 단장은 "부산 사례를 보면서 우려하는데, 부산은 도로가 협소하고 지하철도 함께 다녀 창원시 환경과는 차이가 있다"면서 "창원도 BRT 설치 직후에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초기 적응 과정이 필요한 만큼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교통정책 전문가들은 S-BRT 도입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시민들이 대중교통 업그레이드라는 BRT 기본 방향을 지지해야 한다고 했다.

송기욱 경남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장은 "BRT는 자가용 차량을 억제하자는 것이 기본 취지다. 승용차를 불편하게 하고, 대중교통을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 실장은 "도입 초기 3개월 정도 지·정체 현상도 있고, 중앙에 버스가 다니면 승용차들이 2차로에서 신호를 받고 좌회전하게 돼 혼란과 사고 위험도 있다. 경찰에서 신호를 수동 제어하기도 한다"면서도 "기본적으로 자가용 운전자는 도로가 막히면 다른 길로 돌아간다. 시간대나 경로를 변경하거나 아예 교통수단을 바꿔 생활한다"고 설명했다.

전상민 창원시정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연구위원은 "BRT는 대중교통 활성화 대책 중 하나로 나왔다. 자가용 자동차 수요 관리 정책이기도 하다"며 "불편을 감수하고 자가용 차량에서 버스로 수요 전환이 함께 일어나는데, 승용차 운전자들의 배려와 양보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두 전문가는 BRT 주변 교통체증과 아파트 가격 하락 우려에 관해 "오히려 주요 정류소가 접근성이 뛰어난 지하철 역세권처럼 인근 상권 활성화와 아파트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끝>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