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창원시·마산시·진해시가 통합되어 하나의 창원시로 새로 태어난지 10년이 지났다. 이에 통합 성과와 앞으로 과제를 살펴본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주민들의 생활권을 기준으로 행정권을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통·통신이 발달하면서 생활권역 자체가 넓어지는 경향을 좇아 행정권역 또한 확대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창원시는 이제 경남 인구의 3분의 1 정도를 포괄하고, 면적도 전국의 100만 인구를 넘어서는 도시 중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광역행정의 규모에 적합한 특례시 제정은 시급하다. 하나의 기초지자체로서 인구 2만~3만 명의 군 단위와 행정 관행으로는 대도시 행정을 펼치기에 너무 제약이 많다는 점은 인정하여야 한다.

애초에 창원·마산·진해가 통합될 때, 시청사 위치, 통합도시 명칭, 야구장 위치와 명칭, 상징물 건립 위치를 두고 갈등이 심하였으나 지금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통합 창원시는 정치적으로 보수·진보 진영이 완고한 것으로 보이나, 슬기롭게 공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의회와 정치권이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하여 통합의 정신을 살린 것으로 평가한다. 창원시는 이런 경험을 살려 공론화를 통한 갈등 해결을 제도화했다. 이는 평가받아야 마땅한 일이다.

창원시는 이제 행정적 통합, 광역특례시로의 승격, 갈등 해결의 제도화에서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창원시의 현실적 어려움은 바로 경제와 민생에 있다. 따라서 국가 기계산업단지의 스마트화, 진해신항의 확충을 통한 동북아 물류 거점, 마산의 해안을 중심으로 스마트 도시화를 진행하는 과제가 우선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금년에는 재료연구소의 연구원 승격을 통해 기계산업 소재 분야 개발에 힘을 보태고, 이를 통해 고소득 고용으로 나아가야 한다. 아울러 창원 시민은 교육과 문화에도 갈증을 느끼고 있다. 창원의 중등·고등 교육을 위해서는 창원시와 교육청은 물론이고, 교육부와 경상남도와의 협력이 절실하다. 아울러 품격있는 도시환경을 위해서 아름답고, 생태적이면서도, 쾌적한 도시를 추진하여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