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교실-사법 영역까지
지역 회복거점 확산 강조

회복적 생활교육을 국내에 도입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을 해 온 단체 중 하나로 한국평화교육훈련원을 꼽을 수 있다. 이곳 이재영 원장에게 회복적 생활교육이 왜 필요한지, 확산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를 물었다.

- 회복적 생활교육이 국내에 언제 도입됐나.

"2012년 경기도에서 시작됐다. 경기도교육청에서 지역 전체 학교에서 실현할 수 있게 했다. 경남은 교육청이 아니라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을 받으면서 확산됐다. 교사가 주도하고, 관이 지원해서 성장하게 도운 형태다. 김해봉황초와 3년간 같이 회복적 생활교육을 확산하고자 함께했다. 경남은 학교 교사와 지역 마을교사가 함께 다양한 시도를 하는 좋은 모델이다."

- 그렇다면, 경남에서 앞으로 무엇이 더 필요하다고 보나.

"지역의 거점 학교가 늘어나야 한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다. 정책적으로 회복적 생활교육 지원 체제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지금까지 회복적 생활교육이 이런 것이어서 실천해 나가자고 했는데, 한계가 있다. 아이들 집에서는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경찰 사법 영역 등 회복적 도시라는 큰 그림에서 가정, 학교, 사법, 마을의 역할을 잡아가야 한다. 학교와 가정이 다르면 아이들은 혼란스럽다."

- 회복적 생활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지 않나.

"방향을 바로 잡더라도, 현실에서 구현할 때는 10분의 1밖에 안 나타날 수도 있다. 점점 확대되는 방식으로 가야 한다. 올해 개정된 학교폭력예방법에 따라 학폭위를 지역교육청에서 열면, 교육청의 사법화와 똑같다. 제도만 만들 게 아니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대화를 이끄는 훈련도 받아야 한다. 지속적으로 시민 교육, 회복적 도시 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처벌을 강화한다고 다 좋아지는 게 아니다. 싸웠을 때 '저 학생 어떻게 처벌할까요?'가 아니라 '누가 피해를 입었고 그 피해를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까'로 질문이 바뀌어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