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지인이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학폭위) 회의에 참석했다고 했다. 위원회 한 학부모가 '자발적 회복 교육'을 언급했단다. 이렇게 가해 학생 징계를 정할 게 아니라 '자발적 회복 교육'을 해나가야 한다고. 그러자, 그 자리에 있는 위원들이 바쁜 시간 내서 참석했는데 회의 진행이 늦어지자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고 했다.

최근 동네 미용실 원장도 학폭위 얘기를 했다. 한 초등학생이 친구들한테 괴롭힘을 당하다가 버둥거리며 팔을 휘젓다가 한 학생을 쳤는데, 그것 때문에 평소 피해를 입던 학생이 가해 학생으로 학폭위가 열릴 뻔했다는 것이다.

몇 해 전 한 지인도 고민을 토로했다. 아들이 학교 폭력 피해자로 폭력을 감수하다, 이번에는 폭력을 행사하게 되자 바로 가해자로 지목돼서 강제 전학까지 가게 됐다고 했다.

조금만 주위를 둘러봐도 학교 폭력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이 숱하다. 억울하게 학교 폭력 가해자로 몰렸다는 이도 적지 않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런 고민 속에 '회복적 생활 교육'이 나왔다. 징계 등의 처벌로 사건을 종결하기보다, 문제와 갈등의 당사자들이 공동체와 함께 피해를 회복하는 과정을 만들고, 그 과정에서 파생되는 여러 영향력을 교육과 성장의 기회로 삼는 방식이다.

학폭위 위원으로 참여하다 '자발적 생활 교육'을 익힌 한 학부모는 지금은 이를 알리는 마을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처음에는 필요한지 몰랐다. 내 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학폭위 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우리가 무슨 판사도 아니고, 우리 말 한마디에 누군가는 봉사를 해야 하고 누군가는 강제 전학을 해야 했다"고 했다. 예전에는 피해 입은 학생에게 '가해자에게 벌을 얼마나 줬으면 좋겠어?'라고 했지만, 이제는 '뭘 도와주면 덜 힘들겠어?'라고 묻는다고 했다.

가해자도, 피해자도 치유할 수 있는 교육의 길이 확산하길 바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