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대'홍성택 씨 이야기
경남대 교직원 간접증언도
"외부 동향 알리려 고심"

1979년 부마민주항쟁 때 가해자가 될 수밖에 없었던 군인 활동이 처음으로 부마민주항쟁 증언집에 실렸다. 지난 5월 '편의대' 활동을 첫 양심선언 한 홍성택 씨 증언은 항쟁에 직접 참여했거나 목격한 마산시민과 함께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마산편·3>에 담겼다.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1979년 10월 항쟁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시민 30명의 당시 생생한 기억을 담은 <마산편·3>을 발간하고, 20일 오후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부마민주항쟁 증언집은 2011년 <마산편·1>이 처음 발간된 이후 지난 2월 <마산편·2>가 발간됐고, 10개월 만에 <마산편·3>이 나왔다.

최갑순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 회장은 "이렇게 <마산편·3>을 서둘러 낸 까닭은 항쟁 참여자가 고령화되고 있는 데 반해 제대로 된 진상규명과 관련자의 명예 회복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는 안타까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마산편·3>은 부마민주항쟁 전후 연결고리가 된 사건의 증언자들이 목소리를 낸다. 항쟁에 직접 참여·목격한 마산시민의 기억을 담은 이전 증언집과 차이다.

대표적인 사람이 부마민주항쟁 당시 군인 신분으로 사복을 입고 민간인 사이에 침투해 활동한 '편의대' 대원이었던 홍성택(61) 씨 증언이다. 그는 "부마항쟁 이후 인천에 있던 부대에서 기차로 부산 수영비행장으로 이동했다. 1979년 11월 3일 대규모 학생시위를 차단하는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20일 오후 창원웨딩유로에서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마산편·3>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증언자들과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혜영 기자
▲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20일 오후 창원웨딩유로에서 <부마민주항쟁 증언집 마산편·3>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증언자들과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이혜영 기자

부마항쟁 당시, 같은 시기에 광주에서 유신 정권에 항거했던 박유순(60) 씨는 당시 광주 상황과 10월 17일 전남대 생활지도관실 방화 사건 전말을 전했다. 1979년 전남대 3학년 학생이었던 박 씨는 "당시 대학마다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는 학생을 담당하는 형사가 있었다. 전남대에 상주해서 시찰했던 형사가 100명이 넘었고, 그들이 상시로 머문 곳이 생활지도관실이었다"고 떠올렸다. 방화 계획은 불이 확 붙지 않아 실패했지만 전남대 학원민주화 투쟁의 실천력을 보여주는 일화로 평가받고 있다. 박 씨는 방화 사건으로 경찰에 잡혀 고문을 당했다.

박진해 편집위원장은 <마산편·3>은 이처럼 부마항쟁과 영향을 주고받은 외부 동향과 시대적 상황으로 시야를 넓혀 보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YH무역 노동조합 지부장으로 당시 YH사태 주역이자 마산에서 생활하기도 한 최순영(66) 씨, 수차례 시위로 교도소생활에서 10·26 참여자들을 간접적으로 접한 설훈(66)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 증언으로 가능했다.

또 <마산편·3>은 항쟁의 발화점이 된 경남대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시도했다.

박 편집위원장은 "시위 시작 시점에 주요 역할을 한 학생을 비롯해 다른 한편으로 이들을 지켜보고 관여한 교수, 교직원도 증언에 동참했다"며 "김순규 경남대 원로 교수를 통해서는 당시 이사장이었던 박종규(박정희 정권 경호실장) 씨에 대한 간접 증언 등도 들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날 출판기념회에서는 그동안 익명이었던 부마항쟁 증언자들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불러 의미를 더했다. 부마민주항쟁기념사업회는 이후에도 증언집 작업 과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박 편집위원장은 "부마항쟁의 진실 찾기가 기록이나 자료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현실에서 1차 사료 역할을 하는 증언의 중요성은 몇 번을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며 "아쉬움은 당시 부마항쟁에 대처했던 정치권과 행정 책임자, 군경 관계자의 증언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다.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